“육사 출신 내란 뭉개는 일 없어야”…합참의장 청문회, ‘END론’ 놓고 여야 충돌
국방 정책의 최전선에서 여야가 또다시 격돌했다. 2025년 합동참모의장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육사 출신’ 논란과 이재명 대통령의 한반도 평화 구상인 ‘END(엔드) 이니셔티브’를 두고 정치적 공방이 치열하게 이어졌다. 청문회는 두 차례 정회되는 등 정국 긴장감이 고조됐다.
24일 국회 국방위원회는 진영승 합동참모의장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열었다. 더불어민주당 박선원 의원은 "공군 출신(합참의장)이 왔으니 내란 대충 넘어가겠지 하며 육사 출신들이 대충 뭉개는 일은 절대 없어야 한다"면서 육사 출신 인사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 특히 “순직해병 사건과 관련해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을 항명죄로 수사 의뢰해야 한다”고 강조해 군내 기강 문제를 지적했다.

이에 국민의힘 한기호 의원은 “특정 학교의 출신들을 비하하는 것은 국방위원으로서 올바른 태도가 아니다”라고 강력히 반박했다. 그는 “왜 여기에 육사 출신이 들어가나”, “어떻게 육사 출신이라고 그런 일을 한다고 보나”라며 박 의원에게 항의했고, 이에 박 의원 역시 “있는 그대로다. 육사 출신도 했잖아요”라며 물러서지 않았다. 신경전 끝에 양측은 고성을 주고받으며 청문회가 한 차례 정회됐다.
정회 후에도 신경전은 이어졌다. 국민의힘 강선영 의원은 이재명 대통령의 'END(교류·관계 정상화·비핵화)론'을 두고 “1993년부터 사활을 걸고 개발한 핵을 교류와 관계 정상화로 자연스럽게 파기하겠나”라고 문제를 제기했다. 이에 박선원 의원은 “말도 안 되는, 질문 같지 않은 질문”이라고 맞서 또 한 번 청문회가 중단됐다.
한편 국방위원회는 이날 2025년도 국정감사 일정을 확정했다. 국감은 10월 13일부터 30일까지 진행되며, 국방부와 병무청, 방위사업청 등 68개 기관이 대상 기관으로 포함됐다.
정치권은 이날 청문회에서 군 인사제도와 대북 구상에 대한 상반된 시각을 드러내며 정면으로 충돌했다. 국방위는 내달부터 국감에 돌입할 예정이어서 여야 간 긴장이 지속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