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암경기장에 잔디보호 매트 도입”…최휘영, K팝 공연 확대·암표 단속 강화 시사
K팝 대형 공연장 부족을 둘러싸고 정치권과 정부가 정면 충돌했다.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14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서울월드컵경기장(상암경기장)의 대관 확대와 암표 근절 대책을 내놓으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대형 공연 수요에 맞는 인프라와 합리적 규제 방안 마련의 필요성이 재차 제기되는 분위기다.
이날 최휘영 장관은 “영국 웸블리 축구장에서 잔디 보호를 위해 사용하는 특수 매트를 상암경기장에서 사용하는 방안을 구상 중”이라며 공연장 대관 활성화 계획을 공식화했다. 국내에서 5만 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서울월드컵경기장은 임영웅, 아이유 등 인기 가수들의 무대가 이어지며 높은 수요에도 불구하고, 잔디 훼손 우려로 대관에 제약이 많았다. 이에 최 장관은 “특수매트를 문체부가 서울시에 임대해 상암경기장에서 쓸 수 있게 하겠다. 이른 시일 내에 공연장으로 사용하는 방안을 테스트해 보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최 장관은 “문체부는 잔디복구 비용, 음향·조명 등 설비에 필요한 예산 지원도 병행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문체부는 내년 예산에 이에 해당하는 21억 원 증액을 추진하고 있으며, 지난 달 서울시와도 대관 확대 방안에 대해 이미 협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장기적으로는 서울아레나(2027년), 청라돔(2028년), 고양 K-컬처밸리(2029년), 잠실돔(2032년) 등 수도권 신규 공연장이 차질 없이 개관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4만~5만석 규모 아레나급 시설 신설을 위한 연구도 내년 중 진행된다.
서울 이외의 지역 대형 공연장 건립 요구에 대해선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또한 K팝 콘서트 등 대형 공연의 암표 문제와 관련해선 기존 법의 한계를 지적하며, “현행법상 매크로 티케팅만 단속할 수 있지만, 기술적 수단이 아닌 손 매매 방식까지 포괄한 단속 근거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정치권 반응도 분분하다. 양문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대형 공연장 인프라 부족과 암표 문제의 시급성을 강조한 반면, 여권 일각에서는 민간 자본의 합리적 유치를 위한 실효 대책 필요성을 촉구했다. 문화계 일각에서는 “정부가 공연시장 구조를 제대로 반영하는 제도 개선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주문도 나온다.
K팝 인기에 비해 공연장 인프라가 뒤처져 있다는 지적은 한국 음악 시장의 구조적 고질병으로 지목돼 왔다. 수도권 중심 공연장 확충과 투명한 티케팅 질서 확립 문제는 이번 국정감사를 계기로 다시 쟁점으로 부상했다. 국회는 향후 관련 법 개정 논의 및 예산 심의 과정에서 격론이 이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