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감장에서 또 마스크”…황인수 진실화해위 국장, 두 해 연속 퇴장 파문

최하윤 기자
입력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와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가 또다시 충돌했다. 14일 열린 국정감사 현장에서 황인수 진실화해위 조사1국장이 마스크 착용을 고수해 퇴장 조치를 받으면서, 증언자 신원 확인과 국회 권위가 정면으로 부딪혔다.

 

이날 오전, 더불어민주당 신정훈 행정안전위원장은 “신원이 확인되지 않는 분은 우리 위원회 기관 증인으로 없다”며 황 국장에게 회의장 밖 대기를 명령했다. 앞서 행안위 민주당 간사인 윤건영 의원은 “여러 차례 마스크를 벗으라는 요청에도 여전히 고집을 부리고 있다”며 황 국장 퇴장 조치를 강력히 요구했다. 국민의힘 간사 서범수 의원 역시 같은 입장을 보이며, “지금이라도 마스크를 벗겠느냐, 아니면 퇴장하겠느냐”고 재차 확인했다.

국회는 국가공무원법과 대법원 판례를 근거로 “마스크 착용은 증인으로서 온당한 자세가 아니며, 국가공무원으로서의 품위와 의무 이행에 부적절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박선영 진실화해위원장도 황 국장에게 “다시 한번 마스크를 벗고 증언해달라”고 요청했으나, 황 국장은 “송구하다”는 입장과 함께 거부 의사를 밝혔다.

 

오후 보충 질의에서도 상황은 달라지지 않았다. 신 위원장이 거듭 마스크 착용 해제를 요구했으나, 황 국장은 “제 얼굴이 언론에 공개되는 것을 우려한다”며 “저를 도와줬던 사람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조치해달라”고 호소했다. 그러나 신 위원장은 “얼굴이 이미 여러 차례 언론에 공개된 바 있다”며 “구차한 변명으로 국회를 계속 모독하는 상황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여야 간사들은 협의를 통해 국회증언감정법에 따라 황 국장 고발 가능성도 검토할 방침이다. 실제 황 국장은 전년도 국정감사에서도 같은 사유로 퇴장당한 바 있어, 국감 현장 갈등이 반복되는 양상이다. 해당 사유로 행안위 회의에서도 퇴장이 여러 차례 이뤄졌던 점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정치권은 이번 사안을 두고 행정부기관의 국회 경시, 증언 신뢰성 훼손 우려 등을 두고 긴장감을 높이고 있다. 향후 국회는 증언자 신분 확인 강화와 관련 법 적용을 본격 논의에 나설 계획이다.

최하윤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황인수#진실화해위#행정안전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