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 지정 테러단체 조직원 첫 구속”…경찰, 라슈카르 에 타이바 국내 활동 적발
국내에서 활동해 온 국제 테러단체 조직원이 경찰에 붙잡혔다. 뭄바이 테러 주범으로 지목된 파키스탄의 ‘라슈카르 에 타이바’(LeT) 조직원 구속 소식이 알려지며, 테러방지 정책과 정보기관의 대응력이 다시 이목을 끌고 있다.
경기남부경찰청 안보수사과는 8일 국민보호와 공공안전을 위한 테러방지법 및 출입국관리법 위반 혐의로 파키스탄 국적의 40대 A씨를 구속해 수원지검에 송치했다고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A씨는 2020년 파키스탄 나로왈에서 라슈카르 에 타이바에 가입, 테러캠프에서 중화기 사용법 및 침투 훈련을 받은 뒤 정식 조직원으로 활동했다.

A씨는 2023년 9월 파키스탄 주재 한국 영사관에서 사업 목적 등으로 허위 사실이 기재된 사증 발급 신청서를 제출, 같은 해 12월 국내로 불법 입국해 암약한 혐의다. 라슈카르 에 타이바는 1980년대 중반 결성된 이슬람 극단주의 테러단체로, 인도령 카슈미르 등지에서 무력 공격을 이어왔으며 2005년 국제연합(UN) 지정 테러단체에 포함됐다. 특히 2008년 인도 뭄바이 연쇄 테러를 주도, 166명의 희생자를 낸 바 있어 국제적 위협 단체로 꼽힌다.
경찰과 국정원의 합동 첩보·수사 결과, 서울 이태원에서 파악된 A씨는 8월 2일 체포됐다. 이번 사례는 UN 지정 테러단체 조직원의 국내 체포·구속 1호 사례로, 2016년 테러방지법 시행 이래 이례적으로 평가된다. 출입국 당국이 A씨에게 최근 출국 권고(9월 5일)를 내린 가운데, 그동안 A씨는 국내 체류 기간 연장 신청을 반복해 왔다.
경찰은 평소 국가정보원과 긴밀히 공조한 덕분에 빠른 검거가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A씨가 테러 자금 모집이나 조직원 영입 등에 추가 연루됐는지, 국내 공범이 있는지에 관해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라슈카르 에 타이바는 ‘자살 테러’ 방식으로도 악명 높다”며 “올해 10월 경주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국정원과 정보 공유, 테러 예방 활동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국내 체류 외국인이 최근 273만여 명을 넘어선 상황에서, 테러 대비 첩보 활동의 중요성에 대한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경찰은 온라인 113 신고센터, 국번 없는 113을 통해 테러 관련 신고를 접수할 수 있다고 밝혔다.
경찰과 국정원은 공공안전 강화를 위해 전국적 대응 움직임을 이어가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