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장마 끝나자 폭염 시작”…울산, 더위를 피하는 새로운 일상
라이프

“장마 끝나자 폭염 시작”…울산, 더위를 피하는 새로운 일상

이도윤 기자
입력

요즘 울산의 하늘을 바라보며 우산 대신 자외선 차단제를 꺼내 드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비가 이어지던 장마가 끝나고, 이제는 폭염이 일상이 된 것이다.

 

12일 오후부터 시작된 비는 13일까지 이어지며 시민들의 외출을 망설이게 했다. 그러나 기상청에 따르면, 14일부터는 하늘이 맑아지며 낮 최고기온이 34도까지 오를 전망이다. 연이은 무더위 소식에 동네 마트에서는 냉방용품과 생수가 빠르게 동나고 있다.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직장가는 길에도 양산이 필수품이 됐다”, “수분 보충 음료수가 제일 많이 팔린다”는 일상 풍경이 이어진다.

기상청 제공
기상청 제공

이런 변화는 숫자로도 확인된다. 기상청이 발표한 이번 주 울산 날씨에 따르면, 15일부터 17일까지 낮 기온은 33~34도, 아침 기온도 25도 안팎으로 고온 현상이 이어진다. 야외 활동에는 불편이 따르겠지만, 오히려 이른 아침이나 늦은 저녁을 즐기는 ‘타임슬롯 산책족’이 늘었다. 지역 카페는 폭염 시간대 고객이 줄고, 이른 아침에 손님이 몰리는 현상도 생겨난다.

 

전문가들은 이런 ‘폭염 적응’ 라이프를 건강한 대응이라 말한다. 한 지역 보건관계자는 “물과 전해질 섭취를 평소보다 늘려야 하고, 햇볕이 강한 낮 시간대에는 되도록 야외 활동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이제는 폭염도 우리 동네 날씨의 풍경이 된 셈”이라고 표현했다.

 

커뮤니티 반응도 흥미롭다. “여름마다 더위가 심해져서 아예 낮엔 집에 숨고 있다”, “폭염경보 문자 오면 본능적으로 창문부터 닫는다” 등 자신만의 방어법을 공유하는 글이 늘었다. 타닥타닥 내리던 비가 멎자, 오히려 해가 두렵다는 농담도 자주 보인다.

 

이번 주 울산은 장마와 폭염이 교차하는 전환점에 놓였다. 작고 사소한 대비이지만, 우리 삶의 방향은 그 안에서 조금씩 바뀌고 있다.

이도윤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울산#기상청#폭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