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책임·공감의 공동체로 나아가야”…김민석 총리, 이태원 참사 추모위원회서 안전사회 강조
정치

“책임·공감의 공동체로 나아가야”…김민석 총리, 이태원 참사 추모위원회서 안전사회 강조

윤선우 기자
입력

안전과 책임, 그리고 사회적 공감에 대한 요구가 거세지는 가운데, 김민석 국무총리가 이태원 참사 유가족과 국민 앞에서 정부의 지속적인 책임과 공동체적 노력을 약속하고 나섰다. 참사 후속 대책을 둘러싼 정치권과 정부 기관들의 논의도 뜨거워지는 양상이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4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차 10·29 이태원 참사 희생자 추모위원회 회의’에서 “정부는 더 튼튼한 제도를 통해 안전한, 책임지는, 공감하는 공동체로 (한국 사회가) 가도록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김 총리는 그간 제도 보완 조치와 더불어, 제도만으로 참사에 대한 정부 책임이 사라질 수 없다고 강조하며 지속적 노력을 거듭 약속했다.

이어 그는 “정부가 참사 이후 밀집사고 예방 대책이나 인파 관리 지침 등 여러 가지 제도 정비를 해 왔다”면서도 “그 제도 정비만으로 그날의 책임이 끝났다고 이야기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유가족의 염원을 언급하며 “진실을 기록으로 남겨 다시는 이런 일이 반복되게 하지 말자는 유가족의 염원을 담아 위원님들이 맡으신 것”이라며 “위원회가 새롭고 안전한 대한민국을 세우는 출발점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힘줘 말했다.

 

김 총리는 지난달 이재명 대통령이 이태원 참사 유가족을 함께 위로했다는 점을 언급하며 “굉장히 큰 의미가 있었다”고 평가했다. 이로써 정부의 인식과 태도가 전환점에 들어섰다는 해석도 덧붙여지고 있다.

 

이태원 참사 추모위원회는 지난 1월 이태원 특별법 시행령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데 따라 출범했다. 위원회는 향후 추모사업 전반을 다루며, 행정기관장·지자체장 및 유가족 단체가 추천한 전문가 등으로 구성됐다. 정치권은 추모위원회의 활동을 통해 참사 재발 방지와 안전사회 구현 논의를 확산시켜야 한다는 공감대를 보이고 있다.

 

향후 추모위원회 논의 결과와 후속 대책이 한국 사회 안전망을 실질적으로 강화할 수 있을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정부는 유가족 염원과 국민 여론을 반영해 책임 있는 사회를 만드는 노력을 지속할 방침이다.

윤선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민석#이태원참사추모위원회#이재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