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찰리 커크 깃발 속 ‘혐중’ 시위”…보수단체, 명동행진 경찰 통제에 충돌 없어
정치

“찰리 커크 깃발 속 ‘혐중’ 시위”…보수단체, 명동행진 경찰 통제에 충돌 없어

정유나 기자
입력

보수 성향 단체들과 경찰의 집회 통제가 맞붙었다. 서울 도심에서 펼쳐진 '혐중 시위'를 두고 경찰의 단호한 현장 통제와 정부의 강경 대응 주문이 이어지며 집회 현장과 정치권이 시끄러운 하루를 보였다.

 

9월 19일 오후 7시 30분, 서울 중구 서울중앙우체국 앞에서는 민초결사대 등 보수 단체 100여 명이 태극기와 성조기, 찰리 커크 사진이 인쇄된 깃발을 들고 모였다. 이들은 "부정선거 중국개입", "이재명을 재판하라", "윤 대통령 석방하라" 등 정치적 구호를 외치며 서울중앙우체국에서 한국은행, 소공로, 종각역을 거쳐 대한문까지 행진했다. 최근 피살된 미국 우파 활동가 찰리 커크의 얼굴과 ‘우리가 찰리 커크다’라고 적힌 깃발도 구호 사이로 포착됐다. 

행진 경로에는 주한 중국대사관이 포함되지 않아 외교적 마찰은 우려되지 않았다. 경찰은 "시민이나 관광객을 불편하게 하는 언행을 삼가달라", "깃발이 차도 쪽으로 기울지 않도록 주의해달라"며 시위대에 조건부 통고를 전달했고, 시위대도 이를 수용한 채 질서를 유지했다. 경찰청은 이 같은 제한 통고에 '마찰 유발 행위 금지' 조항을 포함시켰고, 현장에서는 물리적 충돌이나 마찰은 발생하지 않았다.

 

최근 들어 명동 일대에서 반복된 '혐중 시위'로 상인과 국내 체류 중국인들이 불안을 호소하자, 경찰은 지난 12일부터 시위대의 명동 진입을 제한했다. 이에 일부 단체는 서울 영등포구 대림동 등 중국인 밀집 지역으로 이동하며 소규모 소란이 이어졌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치권에서도 대응이 강화되는 분위기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이날 경찰청장 직무대행에게 "필요시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과 경찰관직무집행법 등에 따라 강력하게 조치하라"고 지시했다. 그는 "무분별한 집회로 인한 시민 및 외국인 불안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향후 정부와 경찰은 도심 집회 관리 강화와 함께 관련 법률 적용 가능성을 적극 검토할 전망이다. 이날 현장에서 경찰과 시위대의 대치가 무리 없이 마무리됐지만, 반복적 집회와 우려가 남아 정국의 또 다른 갈등 요인으로 부상할 조짐도 보이고 있다.

정유나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민석#혐중시위#찰리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