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비트코인 11만5천 달러 붕괴”…고래 투자자, 대규모 알트코인 매집·매도 ‘엇갈린 행보’
국제

“비트코인 11만5천 달러 붕괴”…고래 투자자, 대규모 알트코인 매집·매도 ‘엇갈린 행보’

이소민 기자
입력

현지시각 18일, 가상자산 시장이 대폭락세를 기록한 가운데 주요 고래 투자자들이 상반된 매매 전략으로 시장에 긴장감을 더하고 있다. 이번 대규모 가격 변동은 비트코인(Bitcoin) 가격이 11만5천 달러 아래로 추락하는 동시에 이더리움(Ethereum) 등 주요 알트코인 가격도 급락하면서 글로벌 투자시장 전반에 불확실성을 증폭시키고 있다.

 

시장 변동성의 정점에서 고래들의 대응은 극명히 엇갈렸다.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업체 룩온체인(Lookonchain)은 현지 시각 18일 기준, 한 대규모 장외거래 계정이 이더리움 1만 개(4,343만 달러 상당), 비트코인 350개(4,053만 달러 상당)를 저점에서 대량 매수했다고 밝혔다. 추가로, 신설된 두 지갑은 시간차를 두고 총 2만5,684 이더리움(약 1억1,430만 달러)을 파콘엑스(FalconX) 거래소에서 인출해 기관성 자금 유입 가능성이 부상하고 있다.

비트코인 급락 속 알트코인 고래 대규모 매집·매도 엇갈려
비트코인 급락 속 알트코인 고래 대규모 매집·매도 엇갈려

반면, 고래 매도 역시 뚜렷하다. 온체인 렌즈(Onchain Lens)는 한 고래가 3,492 이더리움(1,557만 달러 상당)을 바이낸스(Binance)로 입금해 차익을 실현한 것으로 분석했다. 해당 투자자는 2년 전 바이낸스에서 총 5,800 이더리움을 인출한 뒤 보유 물량 중 일부만 시장에 다시 내놓았으며, 현재 2,650 이더리움(1,200만 달러 상당)을 추가 보유 중이다. 이번 매도로 이 투자자는 약 1,737만 달러의 수익을 거둔 것으로 파악된다.

 

주요 시장 주변부의 동향도 다양성을 보여준다. 바이낸스에서 USDC 172만 달러를 출금해 펏코인(Fartccoin) 179만 개를 매수한 대형 투자자가 포착됐고, 에머CN(EmberCN) 데이터에 따르면 스카이 프로토콜(Sky Protocol) 공동창업자는 ENA 토큰 177만 개를 재매집해 스카이(SKY) 토큰 1,638만 개를 추가 확보했다. 이 창업자는 6월 이후 총 1억2,200만 개 SKY를 평균 0.0836달러에 매수(약 1,021만 달러 투자)하는 집단적 매집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런 매수·매도 패턴은 단기적으로 시장의 유동성과 심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업계에서는 고래의 저가 매수가 심리적 지지선을 구축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활발한 매도세가 이어질 경우 추가 하락 압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중기적으로는 고래간 매매 행태의 이질적 양상이 변동성 확대로 직결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특정 알트코인 프로젝트의 생존성·유동성에 근본적인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국제 가상자산 커뮤니티에서도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일부 참여자들은 “고래의 저점 매집은 결국 시장 회복의 신호”라고 해석한 반면, 다른 측에서는 “대규모 차익 실현 매도는 시장에 대한 불확실성을 방증한다”며 경계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주요 외신 역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단기적 지지선을 확보하지 못하면, 고래 매집의 효과가 단기 시장 반등으로 연결되긴 쉽지 않다는 평가를 내놨다.

 

전문가들은 이번 고래 행보가 글로벌 가상자산 시장 변동성의 새로운 변곡점이 될 것이라며, 비트코인과 주요 알트코인 시장의 유동성 및 심리선에 미칠 영향을 면밀히 지켜봐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향후 고래 움직임과 함께 주요 프로젝트의 중장기적 가치 평가 결과가 국제 가상자산 시장 향방을 결정할 전망이다.

이소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비트코인#이더리움#알트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