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업축제, 시민 자긍심인가 보여주기식 행사인가”…울산시와 민주당, 평가 두고 격돌
공업축제를 둘러싼 울산시와 더불어민주당 울산시당의 해묵은 갈등이 다시 수면 위로 부상했다. 2025 울산공업축제가 지난 16일부터 19일까지 나흘간 개최된 가운데, 양측이 ‘시민 축제’와 ‘보여주기식 행사’라는 평가를 두고 정면 충돌했다.
22일 임현철 울산시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민주당 울산시당의 비판을 조목조목 반박했다. 임 대변인은 “일부 정당에서 축제를 폄하하고 시민의 자긍심을 훼손했다”며 유감을 표명했다. 이어 “올해로 3회째를 맞은 울산공업축제는 산업수도 울산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시민·기업·근로자 모두가 참여한 장”이라며, “산업을 넘어 인공지능 수도로 도약하는 울산의 미래상을 보여주는 각종 공연과 프로그램이 마련됐다”고 밝혔다.

특히, ‘예산 낭비의 보여주기식 행사’라는 민주당 측 주장에 대해선 “행사의 자발적 참여와 시민의 노력을 결코 외면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또 “퍼레이드와 관련된 대규모 질서유지 인력은 공무원의 책무일 뿐이며, 이 행사를 위해 강제 동원은 없었다”고 해명했다. 이어 ‘폐막식 불꽃놀이 장소 변경’ 역시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3년 전 약속에 따른 것”이라며 정치적 시각을 일축했다. 경품 제공에 대해서도 “현대자동차 노사가 기증한 개막식 경품”이라며, 지역 내 단일 콘텐츠 중심 행사와의 단순 비교는 적절치 않다고 앞세웠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울산시당은 매년 공업축제가 시민을 위한 본질을 벗어났다고 지적해왔다. 지난 21일 ‘주간 현안 브리핑’에서 울산시당은 “공동체 보다는 소비자와 공급자 논리로 기획된 보여주기식 행사”라고 혹평했다. 또 “도심 중심의 퍼레이드, 대형 공연, 값비싼 경품은 울산시가 내세운 취지와 어긋난다”며 “최강 울산을 선언하는 김두겸 울산시장의 모습은 K컬처 시대의 신파극이라는 자조가 나온다”고 비판 수위를 높였다.
울산공업축제는 1967년 대한민국 최초 특정공업지구 지정과 공업탑 건립을 기념해 1988년까지 개최됐다가, 2023년 김두겸 울산시장이 공약에 따라 35년 만에 부활한 울산의 대표 축제다. 하지만 부활 이후 정치적 평가가 엇갈리며 시민 의견까지 분분한 상황이다.
정치권과 지역사회는 올해 충돌이 내년 지방선거까지 이어질지 주목하고 있다. 울산시는 “축제 본연의 의미가 훼손되지 않도록 정치적 공방을 멈추라”고 당부한 반면, 민주당 울산시당은 “철저한 평가와 시정이 필요하다”며 대립각을 세웠다. 국회와 지방정치는 축제와 같은 대형 행사에 대한 투명성·공공성 논란을 두고 이번 회기에도 치열한 논의가 이어질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