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1등급 가전 환급금 대폭 확대”…에너지공단, 내수·효율 쌍끌이
산업

“1등급 가전 환급금 대폭 확대”…에너지공단, 내수·효율 쌍끌이

신채원 기자
입력

가전업계와 부품업계가 최근 1등급 가전 환급 확대 정책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한국에너지공단과 산업통상자원부가 내수 시장 활성화와 고효율 제품 확산을 위해 총 2,671억 원 규모의 으뜸효율가전제품 환급 사업을 본격 추진하면서, 소비자와 산업 현장, 부품 공급망 곳곳에서 변화가 감지된다. 정부는 환급금 지원을 통해 신제품 판매 촉진과 소비자 전기요금 부담 완화, 그리고 발전설비 증설 억제를 동시에 노리고 있어 산업계의 긍정적 기대와 긴장감이 교차하고 있다.

 

한국에너지공단은 18일 ‘으뜸효율가전제품 환급사업 효율 상생 생태계 구축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산업부가 2차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환급 예산을 확보하고, 에너지공단이 실무 지원과 홍보를 전담하기로 하면서 전국 주요 제조사와 유통망이 빠르게 움직이는 분위기다. 협약에는 삼성전자, LG전자, 코웨이, 쿠쿠 등 주요 가전사와 쿠팡, 롯데하이마트 등 대형 유통기업이 동참해 각각의 홍보 플랫폼과 현장 판매 네트워크를 활용한 추가 판촉이 이뤄진다.

출처: 한국에너지공단
출처: 한국에너지공단

내수 진작이라는 정책적 목표 외에도, 정부는 가전기기 부품업체 지원과 에너지 효율 고도화, 소비자 전기요금 절감 등 다층적 효과에 주목한다. 특히 정보 취약계층 대상의 대리 환급신청 지원, 구독형 렌탈제품 환급 신설, 사후관리 정보 제공 등에서 필드의 사각지대 해소 방안이 집중 논의됐다. 소비자가 환급신청을 할 수 있는 채널도 구매처와 인근 대리점, 우체국, 수협 등으로 다양화되며 접근성이 개선됐다. 환급사업 안내센터도 이날 문을 열어, 상담과 가이드라인 제공체계를 동시에 가동한다.

 

다만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일각에선 환급사업이 대기업 주력 고효율 제품에 쏠릴 수 있다는 점을 짚으며 수혜 효과의 공정성, 에너지 효율성 실적 측정의 필요성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중소 부품업체의 연쇄적 성장과 실질적 에너지 감축 성과를 강조했다. 환급 지원대상 제품은 7월 4일 이후 구매한 1등급 가전으로 8월부터 본격 신청이 가능하다.

 

전문가들은 정책 효과가 중소 가전기업, 부품 밸류체인, 저소득층 소비자 등 실제 현장 다양성까지 고루 미칠지 장기 모니터링이 필수라고 분석한다. 정책과 시장의 속도 차를 어떻게 좁히는지가 과제라는 평가다.

신채원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한국에너지공단#산업부#으뜸효율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