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에 관세 없다”…트럼프 발언에 국제 금값 2.5% 급락
11일(현지시각) 미국(USA) 뉴욕에서 국제 금 선물 가격이 2.5% 급락하며 최근 상승분을 크게 반납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금에 관세를 부과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공식 표명한 것이 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이번 발언으로 전 세계 투자자들의 이목이 금값 변동과 미국의 통상 정책에 집중되고 있다.
현지 시간 11일,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금 선물 근월물은 온스당 3,404.7달러로 전날 대비 2.5% 하락 마감했다. 앞서 지난 8일 미 세관국경보호국(CBP)이 1kg 골드바와 100온스 골드바를 관세 부과 대상에 포함시킬 것이라는 보도가 나오며 금값은 사상 최고치까지 급등했다. 그러나 백악관이 1kg 골드바에 대한 관세설을 공식 부인했고,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 플랫폼 트루스소셜을 통해 “금은 관세가 부과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혀 오름세를 일제히 되돌렸다.

미국 뉴욕상품거래소에서 1kg 골드바가 주요 거래 단위로 활용되는 만큼, 시장참가자들은 관세 부과 제외 가능성에 대한 기대를 나타내왔다. 시장 전문가들은 단기 금값 변동이 관세 이슈와 맞물려 이례적으로 컸지만, 미국 통화정책의 변화가 향후 금시장의 핵심 변수로 부상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금속정보업체 키트코 메탈의 짐 위코프 선임 애널리스트는 “트레이더들은 관세 이슈 외에도 미국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주목하고 있다”며 “통화정책 변화가 금값 지지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일각에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하 전망이 금 수요 및 가격에 추가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주요 외신은 “트럼프 대통령의 신속한 부인과 공식 해명이 금시장 불확실성을 빠르게 해소했다”고 분석했다. 투자자 사이에서는 당분간 미국 정책 및 글로벌 경제 흐름에 따라 금값 변동성이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이번 조치가 국제 금시장은 물론, 미국(USA) 내 통상정책과 글로벌 투자심리에 어떤 변화를 초래할지 주목된다. 업계 전문가들은 세계 경제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금을 비롯한 귀금속 시장의 향후 움직임을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