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특검 두 번째 불출석”…이배용, 매관매직 의혹 증거인멸 정황 수사 확대
‘금거북이 매관매직 의혹’을 둘러싸고 정치권의 긴장이 고조됐다. 이배용 전 국가교육위원장이 20일 김건희 여사를 둘러싼 특수협의 수사에서 재차 소환을 거부하며, 법적 대응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검팀은 이 전 위원장 출석 요구에도 불구하고 건강상 이유로 응하지 않자, 증거인멸 정황과 함께 엄정조치 가능성을 시사했다.
특검팀은 이날 “오전 소환 통보에 이배용 전 위원장이 건강상 사유를 들어 변호인을 통해 불출석하겠다는 의사를 표시했다”고 밝혔다. 이 전 위원장 측은 전날 갑작스러운 발목 복사뼈 골절로 당일 수술을 받아 출석이 어렵다는 입장을 전했다. 그러나 그는 이미 지난 13일에도 동일한 사유로 소환에 응하지 않았다. 특검팀은 정당한 사유 없는 반복된 거부로 판단될 경우, 구속영장 청구 등 강제 수사 전환을 검토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수사기관은 세 차례 출석 요구에도 응하지 않는 피내사자에게 영장 등 강제수사를 진행한다. 과거 통일교 한학자 총재 역시 의료상 사유로 소환에 불응하다가, 증거인멸 우려로 구속영장이 발부된 바 있다. 특검은 이 전 위원장이 금거북이 등 선물을 김건희 여사 측에 전달하며 인사 청탁을 했다는 혐의, 그리고 증거자료 인멸 시도에 대한 수사를 병행하고 있다.
특검팀은 최근 최은순씨가 운영하는 요양원 압수수색에서 금거북이 실물과 함께, 이 전 위원장이 윤석열 대통령 부부에게 보낸 것으로 보이는 당선 축하 편지의 존재를 포착했지만 실물은 확보하지 못했다. 경찰 인사 관련 문건 역시 사진만 남은 채 실체는 사라진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문건은 경기북부지방경찰청 요직 추천 의견과 총경·경정 인사내역이 담겨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이와 관련해 이 전 위원장이 2022년 9월 국가교육위원회 초대 위원장에 임명될 당시, 김건희 여사가 인사에 영향을 미쳤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당시 교육계 안팎에서는 이 전 위원장의 임명 적절성과 역사관 논란으로 논쟁이 격화된 바 있다. 이 전 위원장은 매관매직 의혹이 불거지자 지난달 1일 사퇴 입장을 밝히고, 대통령이 8일 사표를 수리했다.
특검팀은 이 전 위원장의 비서 박모 씨를 곧 소환할 계획이며, 김건희 여사 일가에 대한 증거인멸 혐의도 본격적으로 수사 중이다. 특히 김진우씨 등 가족 관련자들이 증거 인멸에 연루됐는지 집중 조사하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특검 수사 진행과 이 전 위원장 불출석 사태가 맞물리며, 정국의 불확실성이 가중되고 있다. 특검팀은 “불출석 사유와 증거인멸 정황 등을 종합해 신병 확보 조치를 신속히 검토하겠다”고 밝혀, 향후 수사 방향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