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주 내 전소 시스템 복구”…정부, 클라우드로 공공IT 대전환 시동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센터 화재로 중단된 국민신문고 등 96개 주요 정부 서비스가 대구 민관 협력형 클라우드센터로 4주 이내 복구될 전망이다. 정부는 이번 사고 여파로 행정·금융·우편 등 국민 일상과 직결된 핵심 IT 인프라 다수가 정상 서비스에서 이탈한 상태임을 공개하며, 향후 정보 시스템 복구 및 신뢰성 확보 원칙을 재정립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업계에서는 이번 사태를 ‘정부 IT 인프라 클라우드 전환’의 분기점으로 보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발표에 따르면 행정안전부는 대전센터 화재로 전소된 96개 시스템을 신속히 대구센터 클라우드에 이관해, 약 2주간 장비 및 정보자원 준비와 2주간 시스템 구축을 거쳐 복구하겠다고 밝혔다. 전자 민원 시스템인 국민신문고와 국가법령정보센터, 통합보훈, 대국민 안전플랫폼 등도 포함됐다. 여기에 정부24, 모바일 신분증, 인터넷 우체국 등 1등급 서비스 36개 중 절반 가량만 정상화되며, 공공IT 복구 작업은 단계별로 진행 중이다.

중앙행정기관과 각 시도 지자체는 수기접수·오프라인 창구 등 대체 행정안을 마련, 민원 불편 최소화에 나섰다. 복구 과정에서는 물리 서버 이송, 데이터 이전, 분진 청소 등 각종 현장 작업이 병행 중이며, 서버와 정보시스템이 정전기와 물에 취약한 특성 상 전문업체 작업이 요구된다. 대구센터는 민관협력 클라우드 구조로, 정부가 디지털 기반 행정 안전망을 빠르게 회복시킬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이번 화재의 직접적 원인으로 지목된 리튬이온 배터리는 2014년 생산 후, 10년 사용기한을 넘겨 교체 권고를 받은 것으로 확인돼 충격을 줬다. 관리주체인 LG CNS가 지난해 6월 적기 교체를 권고했지만 실제로는 별다른 조치 없이 사용된 것으로 파악된다. 국정자원관리원은 해당 배터리가 지난해와 올해 모두 정기검사에서 정상 판정을 받았다고 해명하면서도, 향후 전 배터리 제품 관리기준을 권장 기간에 맞춰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공공IT 시스템의 핵심인 데이터센터와 백업 체계, 노후 장비 교체 주기 등 인프라 신뢰성 관리가 부각되는 계기로 평가된다. 재해·보안 등 리스크가 상존하는 만큼, 미국·유럽 등 주요 국가는 정부 IT 자원의 클라우드 이중화·분산화를 강화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지능형 정부서비스 시대, 물리 인프라부터 운영 프로세스 전반에 대한 재설계가 시급하다”고 진단하고 있다.
산업계는 일상생활과 연결된 공공 디지털 인프라 복구가 신속히 이뤄질지, 그리고 이번 사태를 계기로 공공 클라우드 전환과 정보자원 관리 체계가 한층 엄격해질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결국 기술 운용 속도와 관리 체계 개선이 디지털정부 신뢰성의 핵심 조건으로 대두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