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화재 여파 속 5개 시스템 긴급 복구”…환경부, 행정정보 디지털 전환 시험대

윤지안 기자
입력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센터의 화재가 정부 행정정보시스템 가동에 파장을 주고 있다. 환경부는 26일 화재 발생 이후 중단됐던 21개 정보 시스템 중 5개를 29일 오후 4시 기준 긴급 복구했다고 밝혔다. 온실가스 배출권등록부, 국가온실가스종합관리시스템(NGMS),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홈페이지, 상쇄등록부(ORS), 내부직원용 국가온실가스 인벤토리 등이다. 온실가스 거래와 관리의 핵심 역할을 하는 배출권등록부가 복구됨으로써 관련 행정과 정책·기업 활동에 미치던 영향을 신속히 차단한 셈이다.

 

이번 사태는 환경부뿐 아니라 정부 전체의 클라우드 기반 행정 시스템 안전성, IT 인프라 복원력에 대해 물음을 던지고 있다. 복구된 시스템은 모두 대체 서버와 백업 프로세스를 활용했다. 반면 환경공간정보서비스 등 16개 나머지 시스템은 업무연속성계획에 따라 수기 등록, 전화 접수 등 비(非)디지털 방식으로 전환됐다. 환경 민원 포털 또한 복구 전까지 전화상담, 문서 서류 처리 방식이 일시 적용되고 있다.

데이터센터 단일 장애에도 공공 서비스가 직접 영향을 받으면서, 국내 행정 IT 생태계의 물리적 분산, 다중 백업 체계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미국, 유럽 등은 재난 발생 시 즉각 대체센터로 전환하는 수준의 복원 시나리오를 이미 의무화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환경 행정 분야는 다양한 부처·기관과 사업체가 시스템에 의존하는 만큼, 단일장애포인트(SPOF) 최소화와 재해 복구 능력 강화가 정책적으로 요구된다”고 강조한다.

 

화학물질정보처리시스템처럼 복구 지연 시 국민안전, 산업 현장의 직접적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필수 시스템은 더욱 빠른 대응 체계가 요구된다. 식약처, 소방청 등과의 긴급 직통권한, 모니터링 프로토콜도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있다.

 

환경부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과 협조해 조속한 복구에 총력을 기울이고, 복원 이후에도 IT 기반 행정서비스의 안정성과 회복력 강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산업계는 이번 사고를 계기로 공공 IT 공급망의 위기대응체계 고도화가 더욱 중요한 과제로 부상했다고 보고 있다. 기술과 데이터 인프라, 안정적 제도 운영이 함께 구축될 때, 행정의 디지털 전환 효과가 현실에서 완성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윤지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환경부#국가정보자원관리원#배출권등록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