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관세폭탄 현실화 위기”…여한구, 한미협상 위해 방미 강행
정치

“관세폭탄 현실화 위기”…여한구, 한미협상 위해 방미 강행

임태훈 기자
입력

상호관세 유예 종료 시점을 두고 한미 당국이 막판 협상에 들어갔다. 산업통상자원부가 4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의 2차 방미 일정을 전격 발표하면서 자동차·철강 등 주요 산업계에 비상등이 켜졌다. 미국이 예고한 상호관세 유예 시한은 8일로 임박했고, 추가 유예에 실패할 경우 한국산 대부분 상품에 붙는 관세율이 기존 10%에서 25%로 급등한다.

 

여한구 본부장은 이날 인천공항을 통해 미국 워싱턴 DC로 출국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여 본부장이 미국 측과 고위급 통상 협상을 위해 출국했다”고 전했다. 현지에선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 대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등 미 고위 당국자들과 연쇄 면담을 추진하고 있다.

여 본부장은 불과 일주일 전인 지난 6월 27일 새 정부 출범 후 첫 워싱턴 방문 일정을 마치고 귀국한 바 있다. 그럼에도 재차 방미에 나선 배경엔,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선의의 협상’에도 불구 지난달 경과에 만족하지 못하며 한미 포괄적 무역합의 도달을 압박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트럼프 행정부는 영국·베트남 등 타국과 합의는 성사시키고도, 8일 이후엔 미합의국에 “더 높은 상호관세”를 강행할 뜻을 드러내왔다.

 

한국 정부는 대내 정권 교체 등 정치 상황으로 대미 협상 성과가 일본 등 경쟁국들보다 뒤처진 현실을 인정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추가 유예를 요구하며 협상 기간을 최대한 늘리는 쪽이 현실적 대안이라고 진단했다. 산업통상자원부 고위 관계자는 “7월 8일을 넘어서도 실질적 협상은 계속돼야 할 것”이라며 “아직 합의는 멀었다”고 설명했다.

 

만약 한미 협상에서 추가 유예에 실패한다면, 자동차와 철강 등 주력 제품에 별도의 품목관세가 없던 대부분 상품에 최소 25%의 관세가 적용될 전망이다. 현재 부과되고 있는 10%의 기본관세와 비교하면 현장 타격이 크다는 우려가 크다. 트럼프 행정부의 강경 입장에도 불구 한미 당국은 포괄적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 주말 내 협상을 이어갈 방침이다.

 

이날 국회와 산업계는 한미 통상 협상의 막판 변수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다. 미국과의 실질적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향후 9일부터 한국산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 인상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정부는 유예기간 연장과 관세 부과 추가 방지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이다.

임태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여한구#상호관세#트럼프행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