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공항 이전 TF 구성 앞두고 신경전”…강기정 시장, 무안군 갈등 증폭
군 공항 이전을 둘러싼 광주시와 무안군의 정치적 갈등이 본격화됐다. 대통령실 주도로 추진되는 광주 군 공항 이전 태스크포스(TF) 구성을 앞두고 광주시는 무안군을 예비 후보지로 지목한 반면, 무안군은 절차적 공모 방식을 고수하겠다고 맞서며 지역 여론이 격랑에 휩싸이고 있다.
7일 광주시와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25일 광주에서 열린 ‘광주시민·전남도민 타운홀 미팅’에서 장기 표류 중인 군 공항 이전 문제 해결을 위해 범정부와 지자체가 모두 참여하는 TF를 꾸리기로했다. TF에는 광주시와 전남도, 무안군, 국방부, 국토교통부, 기획재정부가 포함된다.

광주시는 지난 12일 정례 조회에서 이후 로드맵을 제시하며 빠르게 움직였다. 군 공항 이전에 관한 6대 과제와 주체를 정리하고, 예비 후보지 발표도 자체 추진하기로 했다. 광주시는 비용 추계와 소음 측정 등 일련의 절차를 거친 뒤 12월 무안군을 예비 후보지로 지명한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이에 무안군과 지역 시민단체는 강하게 반발했다. 광주 전투비행장 무안이전반대 범군민대책위원회는 4일 성명을 통해 “일방적인 이전 로드맵 제시는 군민을 압박하는 행위”라며 “개탄과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또한 “강기정 광주시장은 경거망동 행태를 중단하라”며 광주시 태도에 각을 세웠다.
김산 무안군수도 3일 대통령실을 방문해 김용범 정책실장에게 군 공항 이전을 국가사업으로 전환하고 공모 방식을 추진해달라고 건의했다. 무안군 관계자는 “무안에 국제공항이 있다는 이유만으로 후보지로 특정하는 것은 부당하다”면서 “대구 군 공항 이전처럼 공모로 후보지를 선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시는 TF의 취지상 무안군을 가정한 준비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광주시 관계자는 “6자 TF에서 각자의 역할을 다하면 예비 후보지를 발표할 수 있다”고 전제했다. 이어 “공모 방식을 주장할 수는 있으나, 공모로 가면 무안군을 겨냥한 TF 존재 자체가 무의미해진다”고 반박했다. 이어 “공항 입지 요건과 군 작전성, 사업성을 고려하면 후보지가 거의 한정적이라 공모 자체가 실효성이 없다”고 덧붙였다.
정책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해 강기정 광주시장은 이날 서울 정부 기관을 방문, “우상호 정무수석이 광주 군 공항 이전이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로 공식화됐다고 밝혔다”며 “무안군의 불신의 벽을 넘지 못하고 있었지만, 이재명 대통령이 신뢰의 보증인이 됐다”고 말했다. 또 “국방부도 이전 사업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국방부 장관 후보자에게 요청한 사실도 공개했다.
군 공항 이전 논의는 대통령실 주관 TF 발족 이후 정부·지자체 간 입장 조율이 최대 변수가 될 전망이다. 정부와 여야는 두 지자체의 갈등 국면을 지켜보며 TF 출범에 따른 여론 변화와 정책 효과를 분석 중이다. 정가와 지역사회는 향후 TF 개최 일정과 논의 과정에서 입장 차가 해소될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