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AI가 밤샘 영상 시청 막는다”…유튜브, 청소년 보호 자동화로 업계 판도 변화
IT/바이오

“AI가 밤샘 영상 시청 막는다”…유튜브, 청소년 보호 자동화로 업계 판도 변화

배주영 기자
입력

인공지능(AI) 기반 청소년 보호 기능이 동영상 플랫폼 산업의 주류 규범으로 부상하고 있다. 유튜브가 최근 발표한 AI 미성년자 식별·보호 강화 조치는 SNS 과이용과 유해 콘텐츠 노출이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된 환경에서 나온 조치로, 산업적 파장이 주목된다. 업계는 이번 조치를 플랫폼 자율규제의 흐름과 더불어 글로벌 청소년 보호 기준 정립의 분기점으로 보고 있다.

 

유튜브는 13일(현지 시간)부터 미국 내 이용자를 대상으로 AI 모델을 적용한 미성년자 식별 및 보호 기능을 본격 적용했다. 새롭게 도입된 AI는 콘텐츠 시청 내역, 검색 행동, 플랫폼 이용 시간 등 계정 활동 빅데이터를 다각도로 분석해 이용자가 18세 미만의 미성년자인지를 판단한다. 이전까지는 계정 가입 시 입력된 생년월일 데이터에만 의존해 왔으나, 이번 AI 적용으로 허위 정보 입력의 한계를 극복하게 됐다는 점이 기술적 특징이다.

AI가 18세 미만으로 판단한 이용자는 신분증, 신용카드 인증, 셀프 카메라 촬영 등 각종 인증 과정을 거쳐 성인 여부를 입증할 수 있다. 미성년자로 최종 판정되면 개인화 추천이 배제된 광고만 노출되고, 동영상 반복 추천 등 중독 유발 요소가 차단된다. 디지털 웰빙 도구가 자동 적용돼 15분, 30분, 180분 등 선택 주기별로 휴식·취침 시간 알림이 뜨며, 댓글 작성 및 영상 게시 시 개인정보 보호 안내 기능도 추가로 활성화된다. 특히 이번 기술은 기존 연령 입력 방식의 허점을 실사용 데이터 기반 AI 추론으로 보완하며 보호 실효성을 높였다.

 

반면, 틱톡·인스타그램 등 경쟁 플랫폼은 미성년자 계정의 일일 사용 시간을 60분으로 제한하고, 초과 사용 시 부모 동의를 의무화하는 정책을 시행 중이다. 유튜브는 사용시간 '알림' 중심의 부드러운 개입 방식을 택했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업계는 각 서비스의 정책 차이에 따라 이용자 경험과 실질적 보호 효율성에서 우열이 더 뚜렷해질 것으로 본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미성년자 SNS 이용 규제의 강도가 높아지는 추세다. 올해 12월 호주는 16세 미만의 SNS 신규 계정 개설 자체를 금지할 예정이며, 미국·유럽 역시 유사한 입법 논의가 활발하다.

 

기업들은 규제 움직임에 선제 대응하며 자율 규제를 확산하고 있다. 틱톡은 청소년 보호자 알림 강화, 관심 주제·팔로잉 관리 등 '세이프티 페어링' 기능을 내세웠고, 인스타그램은 라이브 참여 제한과 다이렉트 메시지 내 의심 사진 자동 차단 기능 등을 도입했다.

 

전문가들은 “SNS 과의존이 청소년 정신건강에 실제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지난 6월 '자마' 논문과 같은 연구가 늘고 있다”며, “AI 보안 기술과 규제 표준 확립 간 균형이 향후 청소년 보호 정책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산업계는 실제 AI 기반 보호 시스템이 글로벌 시장에서 안착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배주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유튜브#ai#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