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국정자원 리튬배터리 화재”…정부, 전문인력 투입 밝혀 논란 진화

강다은 기자
입력

리튬이온 배터리 운반 과정에서 발생한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에 대해 정부가 ‘무자격 업체 투입설’을 공식 부인하며 전문 인력 배치 사실을 밝혔다. 최근 데이터센터·공공기관 내 배터리 안전 관리 문제가 부상하는 가운데, 정부는 관련 인력과 절차상의 적정성을 강조하고 나섰다. 업계에서는 이번 해명 및 감식 결과가 추후 정보자원 관리와 2차전지 산업 안전 기준 재정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29일 세종청사 브리핑에서 “무자격 업체가 리튬이온 배터리 운반에 투입됐다는 일부 보도는 사실이 아니다”고 분명하게 밝혔다. 배터리 이전 준비 중 화재가 발생했으며, 현장 작업자는 자격증을 갖춘 전문기술자임을 재차 강조했다. 작업 당시 현장에는 총 8명의 인력이 배치돼 있었고, 아르바이트생 대거 동원설도 사실과 다르다고 해명했다.

비상 전력 공급을 위한 리튬이온 배터리는 높은 에너지 밀도, 반복충전 특성으로 혁신적인 IT 설비의 기반이 되는 한편, 단락·충격 등에 의한 화재 위험이 상존한다. 리튬이온 배터리 관련 시설에서는 전기안전관리자 및 소방감시원 등 법적 요건을 갖춘 전문 인력이 운용되는 것이 필수다. 정부는 이번 화재 역시 관련 업체 3개사가 함께 작업을 수행한 만큼, 배터리 운반 절차상 자격 문제는 없었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생한 화재는 지난 26일 국정자원 대전 본원 5층 전산실에서 진행된 배터리 이전 작업 도중, 작업 인력 중 1명이 다치고 배터리 1개에서 불꽃이 튄 것이 계기가 됐다. 사고 직후 정부와 국정자원관리원은 출입자 데이터 및 보안 카메라 기록, 현장 감식 등을 토대로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책을 마련 중이다.

 

국내외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공공 IT 인프라 현장에서는 2차전지(리튬이온 배터리) 기반 UPS(무정전 전원장치) 대체가 확산되는 추세다. 하지만 최근 미국·유럽 등지에서도 2차전지 화재 위험이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업계는 “정기점검·운반 시 자격 기준 관리, 방화 설비 지속 업그레이드가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현 단계에서 정부와 관리기관은 구체적 화재 원인 발표를 아끼고 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현장에 대한 국과수 감식이 진행중”이라며 “명확한 원인·책임 주체는 결과 공개 후 말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전문가들은 막대한 데이터와 에너지 흐름이 교차하는 IT 인프라 현장에서는 기존 전력 설비 기준 외에 2차전지 특화 안전 노하우 축적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산업계는 이번 사건이 데이터센터 안전 테크놀로지와 정책 기준을 확립하는 전환점이 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강다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정부#국정자원관리원#리튬이온배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