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위 약속에 컷오프 불가?”…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위원장 경선 후폭풍 격화
부산시당위원장 경선 과정에서 드러난 ‘친명’ 인사 컷오프 논란이 더불어민주당을 거센 잡음 속으로 몰아넣고 있다. 이재명 전 당 대표가 직접 영입한 친명계 유동철 부산 수영지역위원장이 최종 후보에서 탈락하자, 당 지도부의 재심 불가 입장에 내부 반발까지 확산되고 있다. 지도부는 원칙에 따른 결정임을 내세웠으나, 최고위 약속을 위반했다는 지적과 함께 '명청'(이재명-정청래) 갈등이 현실화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끊이지 않고 있다.
6일 민주당 박수현 수석대변인은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정확하게 원칙과 룰에 의해 조직강화특별위원회가 논의해 이뤄진 결과"라며 "재심 대상이 아니다"라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 유동철 위원장의 재심 청구에 지도부가 선을 그은 셈이다. 박 대변인은 "정청래 대표가 '억울한 컷오프가 없도록 하겠다'는 원칙에 대해 이의를 제기한 것으로 들었으나, 당직 선거와 내년 지방선거에 출마할 선출직 공직의 기준이 완전히 일치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지도부는 일각에서 제기된 ‘특정 계파 배제’ 논란에 대해서도 선을 긋고 있다. 문진석 원내수석운영부대표는 이날 라디오에서 "정청래 대표가 컷오프를 하지 않겠다는 것은 지방선거 공천에 대한 이야기"라며, "시당위원장 경선은 당직 경선이기 때문에 이를 연결하는 건 확대 해석"이라고 말했다. 그는 "오해할 수는 있어도 특정 계파를 배제하기 위한 불공정한 과정은 없었다"고 강조했다. 장경태 의원 역시 "지역위원장 모두 친명계가 아닌 분이 누구냐"고 반문하며 계파 논란을 일축했다.
그러나 지도부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는 분위기다. 유동철 위원장이 이재명 체제에서 영입·공천됐던 대표적 친명계 인사이자 '더민주혁신회의' 공동 상임대표라는 점에서, 일각에선 최근의 당정 엇박자와 맞물려 이른바 '명청 갈등'의 신호탄 아니냐는 해석도 제기된다.
당내 일부 의원은 절차 자체에 납득하기 어렵다는 반응이다. 한 초선 의원은 "인재 영입도 됐고 지역에서 이미 공천도 받았던 분을 갑자기 컷오프시킨 결정은 이해하기 어렵다"며 "부적절했다고 본다"고 언급했다. 총선과 지방선거를 앞두고 유사한 갈등이 반복될 수 있다는 우려 또한 커지는 상황이다.
이날 민주당은 지도부 결정과 내부 반발이 정면 충돌하는 양상을 보이며, 부산시당위원장 경선 파동이 계속 확산되고 있다. 당은 컷오프 방침을 둘러싼 갈등을 봉합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