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역사 갈등, 정부의 지속적 노력이 해법"…남상구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제언
역사 인식을 둘러싼 한일 간 갈등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6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 기념 국제 학술회의에서 남상구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이 한일 역사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의 지속적이고 일관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면서다. 한일 관계 발전의 주요 걸림돌로 지적되는 독도 영유권, 식민 지배와 위안부 강제동원, 야스쿠니신사 참배 문제 등이 다시 한 번 도마 위에 올랐다.
남상구 연구위원은 "역사 문제를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도깨비방망이'는 없다"고 언급한 뒤, “생산적인 결론을 끌어내려면 1965년 국교 정상화 이후 양국이 이룬 성과와 한계, 그리고 견해차를 명확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일본 정부는 식민 지배의 부당성에 대한 확립된 기존 입장을 바탕으로 일관되고 진정성 있게 역사 인식을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한국 정부 역시 "법적, 정치적, 도의적 접근을 분리해 단계적 해결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며 “양국 간 인식 차이를 줄이기 위해 정부 차원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남 연구위원은 역사문제 논의의 장으로 2002년부터 2009년까지 두 차례 운영된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재개를 제안했다. 그는 “공동연구위원회를 장기적이고 지속적으로 운영할 제도적 보장이 필요하다”며, 교사 등 현장 전문가의 참여로 학교 교육과의 연계를 강화할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자리에서 일본 히토쓰바시대 가토 게이키 교수는 1990년대 이후 한일 역사 공동연구의 성과와 흐름을 짚었다. 가토 교수는 “공동 연구의 성과를 널리 알리는 것도 중요하다”며 “학술 논문뿐 아니라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는 교양서 집필이 효율적”이라고 제안했다. 그는 또 “양국의 최신 연구 성과가 충분히 공유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며, 소규모 연구 교류와 지역사 연구의 활성화도 역설했다.
이번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 학술회의는 한일 양국의 ‘공생과 번영’을 위한 미래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자 동북아역사재단과 현대일본학회 공동 개최로 마련됐다. 외교, 경제, 사회, 문화를 주제로 양국의 연구자와 언론인 등 100여 명이 참여해 다양한 의견을 개진했다.
이에 따라 국내 정치권과 외교 라인에서도 한일 역사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 간 대화와 정책 노력이 보다 탄력을 받을지 주목된다. 정부는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제도적 보장 방안 등을 포함해 단계적 역사갈등 해소책을 검토할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