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정부 전산망 92.5% 복구”…국가정보자원관리원, 재난대응 체계 시험대

강다은 기자
입력

정부 전산망의 복원 속도가 국가 재난대응 역량의 시험대로 부상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709개 정부 전산시스템의 서비스가 한때 중단된 가운데, 이틀 만에 92.5%인 656개 시스템이 정상화됐다. 우선순위가 높은 핵심 공공 서비스부터 단계적 복원을 추진한 점이 주목된다.  

2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5시 기준으로 고용노동부 최저임금위원회 홈페이지, 행정안전부 데이터역량강화 학습지원시스템, 국가보훈부 PACS(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 등 3종이 추가 복구됐다. 등급별로는 1등급 40개 시스템 전부가 가장 빠르게 정상 가동됐으며, 2등급은 68개 중 64개(94.1%), 3등급 261개 중 242개(92.7%), 4등급 340개 중 310개(91.2%)에서 복구가 이뤄졌다.  

국정자원관리원은 신속한 백업 데이터 전환과 모듈별 재가동 방식을 병행해 이번 대형 장애를 최소화하는 데 주력했다. 1등급·2등급 주요 정보시스템은 이중화(Active-Active) 구조를 통해 신속히 복원됐으며, 복구 시간이 상대적으로 오래 걸리는 하위 등급도 보조 서버 이관을 확대했다.  

이번 장애 대응 과정은 사이버 인프라 복구 체계의 실제 성능을 검증하는 계기가 됐다. 미국 등 선진국은 비상시 수시간 이내 95% 이상 핵심 시스템을 복구하는 표준 프로세스를 이미 도입 중이다. 국내 역시 정부주도 재난대응 ICT 고도화가 절실하다는 의견이 힘을 얻고 있다.  

전문가들은 “국가 IT자원을 보호하기 위한 다중화 인프라와 자동복구 시스템이 상시화돼야 한다”며 “솔루션 이중화, 클라우드 분산 배치 등 장기 개선책도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산업계는 이번 대규모 장애 복구 경험이 향후 디지털 정부 인프라 강화와 위기대응 전략 발전에 중요한 시사점을 남길지 주목하고 있다.

 

강다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국가정보자원관리원#행정안전부#최저임금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