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이태준 선생 기념관 울란바토르 개관”…독립유공자 발자취, 한·몽 우호 상징으로 조명
정치

“이태준 선생 기념관 울란바토르 개관”…독립유공자 발자취, 한·몽 우호 상징으로 조명

윤가은 기자
입력

양국의 역사적 교차점에서 정치적 상징성이 커지는 순간이다. 일제강점기 몽골에서 항일운동을 전개한 독립유공자인 이태준 선생을 기리는 기념관이 4일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공식 문을 열었다. 외교부와 국가보훈부가 참여한 가운데 한·몽 우호 관계 강화의 상징적 계기가 마련되며, 정관계 인사와 교민사회가 함께 이태준 선생의 발자취를 기렸다.

 

개관식은 주몽골한국대사관과 몽골한인회의 공동 주관으로 거행됐다. 한국 측에서는 최진원 주몽골대사와 조정식 국회의원, 조윤경 몽골한인회장 등이 자리를 함께 했으며, 몽골 측에서는 졸바야르 환경기후변화부 사무차관, 체렌 울란바타르 항올구청장, 에르덴토야 전 주한대사 등이 참석했다. 이태준 기념관은 2001년 몽골 정부의 무상부지 제공으로 설립된 이태준 기념공원 내에 자리 잡았고, 국비 등을 포함한 19억6천여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지하 1층∼지상 2층 규모로 건립됐다.

현대적 전시와 교육 공간을 지향한 기념관에는 이태준 선생의 인공지능 복원 영상, 한·몽 교류사 디지털관 등 미래지향적 요소가 도입됐다. 또 의사 이태준의 구국운동과 의료 활동 등 다채로운 컨텐츠로 양국의 공통 기억을 조명한다. 

 

1883년 경남 함안 출생인 이태준 선생은 1907년 세브란스의학교를 거쳐, 1914년 항일운동가 김규식의 권유로 몽골 울란바토르로 건너갔다. 동의의국을 개설하고 근대적 의술을 보급하며 몽골 황제의 어의로 활동했다. 각지 애국지사들에게는 은신처와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하는 등 국내외 항일 네트워크의 핵심 역할을 수행했다. 정부는 1990년 그의 업적을 기려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

 

이번 기념사에서 최진원 주몽골대사는 “이태준 선생의 독립정신과 몽골인들에 대한 사랑, 헌신이 오늘날 한·몽 우호 관계에 자양분이 됐다”고 평가했다. 몽골 졸바야르 사무차관도 “몽골에서 근대 의료기술로 많은 몽골인의 전염병을 치료하고, 몽골 황제의 어의로 활동하는 등 지금까지도 몽골인들의 존경을 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번 기념관 개관이 단순한 역사재조명을 넘어 한·몽관계의 전략적 유산임을 부각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교민 사회도 이태준 선생의 삶을 기리는 한편, 세대를 잇는 한·몽 우호 증진 동력으로 기대감을 나타냈다.

 

정부는 앞으로도 양국의 인적·문화적 교류 확대와 더불어, 해외 독립운동사 재조명 사업을 체계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윤가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태준#주몽골한국대사관#몽골한인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