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결제망 실시간 연동”…쿠콘, 출금이체로 디지털 결제 혁신
가상자산 기반 결제 기술이 전통 금융망과 접점을 넓히고 있다. 쿠콘은 다우데이타, 가상자산 거래소 코빗과 협업해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주요 가상자산을 보유한 이용자가 자산 매도 후 기존 결제망에서 실시간 결제할 수 있는 서비스를 공동 구축했다고 21일 밝혔다. 업계는 이번 발표를 ‘가상자산·결제 인프라 통합 경쟁의 신호탄’으로 본다.
쿠콘은 결제대행사 다우데이타, 가상자산 거래소 코빗과의 협업을 통해, 가상자산 매도 시 해당 자산이 원화로 전환돼 일반 가맹점에서 실시간 결제로 이어질 수 있도록 출금이체 솔루션을 제공한다. 코빗 이용자가 가상자산을 매도하면, 해당 대금이 즉시 계좌에서 출금되고 결제대행사로 실시간 이체돼 가맹점 결제에 즉시 활용되는 구조다. 해당 서비스는 이달 말 공식 출시될 예정이다.

출금이체 솔루션은 금융 부가가치통신망(VAN)을 활용해, 수많은 결제·수납 대금을 계좌에서 출금해 기업 계좌로 대량 처리하는 기술이다. 쿠콘의 시스템은 국내 모든 은행과 증권사 계좌를 한 번에 연결하고, 인터넷 은행까지 지원해 별도의 금융기관 연동 부담을 없앴다는 점이 강점으로 꼽힌다. 그러면서 기업의 결제 관리 효율성과 자동화 수준도 크게 강화됐다는 평가다.
이런 실시간 가상자산-결제 연동 서비스는 기존 결제 플랫폼에 비해 이용자 편의성뿐만 아니라, 디지털 자산 활용 경제권을 넓힐 수 있다는 산업적 의미를 가진다. 기존의 가상자산 매도→현금화 후 결제까지 수분~수시간이 걸리던 절차가 실시간 처리로 단축됨에 따라, 즉시성이 중요한 온라인·오프라인 결제 시장에서 활용도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시장에서도 비자, 마스터카드 등 결제 대기업들이 주요 가상자산 결제 연계 실증에 나서고 있지만, 아직까지 국내 금융망과의 실시간 통합 성공 사례는 드물다. 미국과 일본에서는 시중은행이 직접 가상자산 연동 카드를 내놓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규제 등장벽 때문에 결제망 연동이 핵심 과제로 꼽혀왔다.
실제 가상자산-기존 금융 간 브릿지 기술은 정보보호, 트랜잭션 안정성, 자금세탁방지 등 제도적 쟁점도 크다. 관련 규제당국이 요구하는 자금세탁방지 절차, 금융정보 사용자보호 기준을 충족해야 하며, 결제 프로세스 내 보안 인증과 실시간 데이터 전송도 필수적이다.
쿠콘 김종현 대표는 “우리가 구축한 인프라가 가상자산과 전통 금융을 연결하는 실증이 됐다”며 “앞으로도 안전한 네트워크로 디지털 결제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산업계는 가상자산 연동 결제가 시장에 얼마나 빠르게 자리잡을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