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낙관론 두 달 새 17%포인트 급락”…한국갤럽, 경제 체감 냉각 신호
경기 회복을 둘러싼 인식 차가 정치권과 경제 주체들 사이에서 첨예하게 드러났다. 한국갤럽이 2025년 8월 19일부터 21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1,00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향후 1년간 국내 경제가 좋아질 것이라는 응답은 35%에 그쳤고, 나빠질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은 39%, 비슷할 것이라는 답변도 22%로 집계됐다. 지난 6월 52%에 달했던 경기 낙관론이 불과 두 달 만에 17%포인트 급락해 대선 전 수준으로 다시 내려앉은 모습이다.
세부적으로는 40·50대, 중도층, 자영업 종사자, 생활수준 하층에서 경기 전망이 뚜렷하게 악화됐다. 특히 자영업과 중도, 생활수준 하층 응답자들은 최근 경제 상황에 더 날카롭게 반응하며 체감경기의 하방 요인으로 작용했다.

한국 증시 역시 관망 분위기가 이어졌다. 코스피 지수는 3,100~3,200선에 머물며 아직 역대 최고치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정부 민생회복소비쿠폰 지급률은 97%라는 높은 수치를 기록했지만, 금융시장은 대주주 기준 확대와 미국발 불확실성 등 외부 변수를 주시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가계 살림살이에 대한 전망도 팽팽하게 맞섰다. '좋아질 것'과 '나빠질 것'이 각각 25%로 동률을 이뤘으며, '비슷할 것'이라고 답한 비율은 49%로 집계됐다. 주목할 점은 생활수준 하층에서 비관론이 뚜렷하게 늘어나며, 전 계층 중 양극화 인식이 가장 선명하게 드러난 부분이다.
국제 정세에 대한 우려는 더욱 강해졌다. 향후 1년 내 국제분쟁이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은 45%로 비관론이 다수를 차지했다. 반면, '감소할 것'은 18%, '비슷할 것'이 29%였다. 참고로 국제분쟁에 대한 낙관론이 비관론을 앞선 사례는 문재인 정부 1차 남북정상회담 직후인 2018년 5월이 유일했다.
정치권은 최근 경기 체감 악화와 분쟁 우려 확산을 놓고 민생 정책의 방향성, 시장 안전망 강화 방안 등을 두고 논쟁을 벌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경기 낙관론의 급락이 정치권 전반에 복합적 압박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중도층과 소상공인 여론의 향배가 내년 정국의 핵심 변수로 떠오를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날 여론조사는 한국갤럽이 자체 조사 방식(CATI)으로 진행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응답률은 15.1%다.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와 한국갤럽 홈페이지에서 더욱 상세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정치권은 경기 전망을 둘러싼 민심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추가 대책 검토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