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단통법 폐지에도 조용”…번호이동 급감, 보조금 경쟁 재점화 불발
IT/바이오

“단통법 폐지에도 조용”…번호이동 급감, 보조금 경쟁 재점화 불발

한채린 기자
입력

이동통신 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 폐지가 시장 경쟁 활성화의 ‘기폭제’가 될 것으로 기대됐으나, 실제로는 이동통신사 간 번호이동이 오히려 감소했다. 8월 국내 번호이동 건수는 64만4618건으로, 단통법 폐지 이전인 7월(95만6863건) 대비 32% 이상 줄었다. 이는 법령 변화 이후에도 이통사들이 시장점유율 방어에 급박하게 움직이지 않은 결과로 분석된다. 업계는 단통법 종료로 치열한 보조금 경쟁이 예고됐으나, 실제 현장에서는 가입자 유치보다는 해킹사고 후속 조치와 기존 이용자 유지에 집중하는 양상이 두드러졌다.  

SK텔레콤은 유심 정보 유출 사고 이후 가입자 이탈이 급증하자 지난달 전 고객을 대상으로 50% 요금 할인과 데이터 50GB 추가 지급 등 이례적인 혜택을 내놨다. 해킹사고로 이탈한 고객이 6개월 내 재가입 시 가입 연수와 멤버십 등급을 회복해 주는 정책도 적용한다. 그러나 이런 특단의 대책에도 8월 SK텔레콤으로의 번호이동은 전월 대비 40% 넘게 감소한 15만여 건에 머물렀다. 같은 기간 KT와 LG유플러스, 알뜰폰 이동 건수 역시 줄어드는 추세다.  

통신업계 관계자들은 “위약금 면제와 단말 보조금 규제 완화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이 이동통신사 변경에 실질적 매력을 느끼지 못한 것”이라며 “특히 프리미엄 단말의 제조사 보조금 비중이 작아, 마케팅 실효성이 제한적”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미국 등과 달리 한국 시장에서는 단통법이나 규제 변화가 즉각적인 번호이동 확대로 연결되지 않고 있다.  

업계는 오는 10일 글로벌 신제품 아이폰17 공개 이후 마케팅 전략을 재점검할 전망이다. 다만 단통법 폐지의 효과가 당장 번호이동 확대나 출혈경쟁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전문가들은 “보조금 정책 변화가 소비자 선택권 확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며 “실제 시장 성장 동력은 네트워크 품질, 데이터요금, 가입자 혜택 등 기반 경쟁으로 이동할 가능성도 있다”고 진단했다. 산업계는 이번 단통법 폐지 후 시장 안정화 과정과, 향후 프리미엄 단말 출시 시점의 변동성을 동시에 주목하고 있다.

 

한채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sk텔레콤#단통법#번호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