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동네한바퀴 안동의 골목길에서”…인연과 미각의 여운→시간이 남긴 그리움
엔터

“동네한바퀴 안동의 골목길에서”…인연과 미각의 여운→시간이 남긴 그리움

정재원 기자
입력

낯선 기차역의 문턱과 오래된 친구의 온기가 뒤섞인 아침, KBS1 ‘동네 한 바퀴’는 유년의 설렘에서 시작된 발걸음을 따라 안동의 골목길을 천천히 거닐었다. 시장 바닥에 남겨진 싱그러운 안부와 대왕 문어 한 점, 곳곳에 퍼지는 고소한 보리전의 향기가 인연의 지도를 그리고 있었다. 여대생 시절 내일로 여행을 함께했던 동행들과의 시간은 안동중앙신시장에서 다시 한 번 현재로 소환됐다.

 

시장 한편, 유년의 추억을 카운터 삼아 지역 특산 햄프씨드로 젤라토를 빚어내는 강현구 씨를 비롯해, 손끝에 전통의 무게를 묵직하게 쥔 명인들의 시간이 연이어 펼쳐졌다. 풍산평야의 곡식과 낙동강이 길러낸 박재서 명인 집안은 금지령 너머 세월의 이정표에서 가양주의 숨결을 지켜냈다. 세대를 잇는 박찬관, 박춘우의 손길은 누룩과 오크통 숙성으로 안동소주에 새로운 감각을 더했다.

안동 문어골목부터 헛제삿밥까지…‘동네 한 바퀴’ 인연의 시간→공존의 맛 남기다 / KBS
안동 문어골목부터 헛제삿밥까지…‘동네 한 바퀴’ 인연의 시간→공존의 맛 남기다 / KBS

쉼 없이 이어진 골목의 끝에는 48년째 단 하나의 보리밥집이 고요하게 맞아주었다. 안명자 씨의 6천 원 밥상에는 11가지 나물과 집된장, 그리고 굳건한 일상 속 누적된 손길의 노고가 겹겹이 빛났다. 안동 간고등어 한 토막이 더해져 작디작은 한 끼에도 온 동네의 마음이 오롯이 담겼다.

 

월영교 아래로 흘러내리는 낙동강과 내성천 물길은 걷는 이들의 시간을 자연스럽게 건넜다. 살아 숨 쉬는 한옥 수애당의 정원에서 류효진, 문정현 부부는 대대로 내려온 레시피와 안동식혜로 헛제삿밥을 차려내며, 오래된 약속을 오롯이 기억했다. 벽에 드리워진 안동포와 지관서가의 한옥에서는 서두름 없는 일상과 보이지 않는 배려가 서로를 부드럽게 감쌌다.

 

엄마까투리의 따스한 모성애가 깃든 상상놀이터에서는 어린이들의 한여름 웃음이 흘렀고, 시장의 분주함과 고택의 정적 속에서 삶의 의미와 시간의 소중함, 그리고 사람이 남기는 온기가 켜켜이 쌓여갔다. 마침내 한 걸음 한 걸음이 여행의 기록으로 바뀌며, 안동의 하루는 인연과 공존의 맛을 남긴 채 세월 속에 물들었다.

 

‘동네 한 바퀴’ 335화 ‘약속, 기억하다’는 소박하고 진득한 사람 사는 냄새, 그리고 시간이 남긴 흔적을 감각적으로 그리며 9월 6일 토요일 저녁 7시 10분 시청자와 만날 예정이다.

정재원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동네한바퀴#안동#헛제삿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