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환 목사 증인신청 추진”…해병특검, 구명로비 의혹 본격 수사 전환
채상병 사건의 외압·은폐 의혹을 둘러싸고 해병대 순직특별검사팀과 유력 인사들이 맞붙었다. 해병특검은 김장환 극동방송 이사장의 구명로비 관여 정황을 쫓으며, 해당 인물들의 증인신문 추진으로 정국이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이명현 특별검사팀은 29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이번 주 김장환 목사 공판 전 증인신문 청구서를 법원에 제출할 예정"이라며 "한기붕 전 극동방송 사장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검팀은 김 목사와 한 전 사장이 채상병 사건 관련 참고인 신분임에도 수차례 출석요구에 불응했다는 점에서, 법원의 강제 소환을 통해 진술 확보에 나설 방침이다.

공판 전 증인신문 제도는 통상 수사기관의 참고인 출석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때, 법정 소환을 통한 강제 신문을 가능케 한다. 그동안 김 목사는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구명로비에 직접 관여했다는 정황이 포착됐으나, 구체적 설명을 위한 참고인 조사가 번번이 무산돼 특검이 증인신문 카드를 꺼내 들었다는 분석이다.
특검팀은 특히 2023년 8월쯤 김 목사가 윤석열 전 대통령과 직접 만나고, 임성근 전 사단장과 통화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다만, 김 목사 측은 "윤 전 대통령과의 만남이 일대일이 아닌 여러 사람이 참석한 공식 일정이었다"고 해명했다.
수사외압 의혹과 관련해서는 참고인 조사에 불응한 이종호 전 해군참모총장 역시, 재판 시작 시 법정 증인으로 소환하겠다는 입장이다. 한편, 한기붕 전 사장의 경우 휴대전화 포렌식 결과 자동통화 녹음 파일이 총 1만9천여개임에도 2023년 7월 19일부터 8월 30일까지의 녹음은 13건에 불과해, 특검팀은 증거 인멸 정황에 대해 수사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정민영 특별검사보는 "김 목사와 한 전 사장에 대해서는 현 단계에서 직접 신문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며 "이종호 전 총장은 신문 시기를 재판에 맞춰 조정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국회와 정치권은 해병특검의 증인 소환 추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해병대 채상병 사망 사건 외압 의혹과 구명로비 논란이 재점화된 가운데, 증인신문 절차가 진상 규명의 중대한 분수령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치권은 이번 특검팀의 움직임을 두고 다시 한 번 정면 충돌 양상을 보이고 있다. 정부와 국회 모두 향후 법원 절차와 추가 수사 방향을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