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안전 책임자로서 송구”…이재명 대통령, 울산화력 사고 엄정조사·처벌 지시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로 마지막까지 실종됐던 노동자마저 숨진 채 발견되며, 전국적 안전 문제와 책임론이 불거졌다. 이재명 대통령은 16일 울산화력발전소 사고와 관련해 "국민 안전의 최종 책임자로서 진심으로 송구하다"고 직접 사과하며, 이번 사고의 전면적 진상 규명과 책임자 엄벌을 지시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국민 모두의 간절한 바람에도 끝내 매몰됐던 노동자 일곱 분 모두 차디찬 주검으로 가족의 품에 돌아왔다. 가슴이 미어진다"고 밝혔다. 이어 "희생되신 분들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께도 깊은 위로를 전한다"고 전했다.

이 대통령은 "있어서는 안 될 사고였다"며 "살기 위해 하는 일이 '죽음으로 가는 길'이 돼선 안 된다. 다시는 이런 비극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강조하면서, "일터가 죽음의 현장이 되는 비극을 이제 끝내야 한다"고 거듭 밝혔다.
또한 이재명 대통령은 사고와 관련해 "현장에서 안전관리가 부실하지 않았는지, 공사 기간 단축에 쫓겨 무리한 작업이 강행된 것은 아닌지 면밀히 조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철저하고 신속한 수사를 통해 사고 원인을 명확히 규명하고, 책임자는 지위나 직책을 가리지 않고 엄정히 처벌하겠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이 대통령은 "관계 부처는 전 사업장의 안전 실태를 제로베이스에서 다시 검토하라"며 "겨울철 위험 작업장에 대한 안전 점검 역시 한 치의 소홀함 없이 진행하라"고도 지시했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사고를 계기로 전국 산업현장의 안전관리 허점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노동계와 야권은 안전관리에 대한 실질적 제도개선과 책임 있는 후속 조치를 촉구하고 있다. 반면 여권 일각에서는 사고 원인 규명과 관계기관의 신속한 수사 협력을 강조하는 입장을 내놨다.
이번 사고로 노동자 7명의 희생자가 발생하면서 산업 현장 전반에 대한 안전 관리 강화와 제도 개혁 필요성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확산되는 분위기다. 정부는 전국 사업장의 안전 실태를 전면적으로 점검하며, 필요 시 추가 제도 개선 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