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AI 3대 강국, 사이버보안이 관건”…정부, 디지털 신뢰 강화 전략 가동
자동차

“AI 3대 강국, 사이버보안이 관건”…정부, 디지털 신뢰 강화 전략 가동

정하준 기자
입력

인공지능(AI) 기술이 대한민국 산업 전반의 패러다임 전환을 주도하면서, 이에 상응하는 사이버보안 체계 강화가 핵심 화두로 부상하고 있다. 9일 열린 제14회 정보보호의 날 기념식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체계적인 정보보호와 튼튼한 사이버보안이 뒷받침된다면 AI 3대 강국 실현이 가능하다"며, 민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한 선제적 대응과 국가 역량 강화를 주문했다. 업계는 이번 메시지를 ‘AI 중심 디지털 경쟁 본격화의 분기점’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날 기념식에서 정부는 ▲정책·제도 재정비 ▲기업 보안 책임성 강화 ▲사이버 복원력(Resilience) 확보 ▲중소기업 및 지역 보안 역량 제고 ▲정보보호산업·보안인재 양성 등 실질적 전략을 예고했다. 참여기관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정보원, 행정안전부와 산하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KISIA) 등이다.

특히 최근 AI 기술을 악용한 사이버 공격이 정교해지며, 에너지와 교통 등 국가 핵심 인프라를 겨냥한 보안 위협이 급증한 점이 부각됐다. “기존 보안 대응을 넘어, AI 시대에 맞는 실시간 위협 탐지와 복원력이 모든 산업에 요구된다”는 현실 인식이 자리잡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이미 국가 단위로 정보보호 정책 경쟁이 가속됐다. 미국, 유럽연합(EU)은 올해 초부터 핵심 기반시설 보안 의무와 AI 보안·사이버 복원성 관련 법·가이드라인을 속속 도입했다. 우리 정부도 ‘정보보호 주간 UNITE’ 운영, 글로벌 사이버보안 협력 네트워크(CAMP) 10주년 행사를 비롯해, 해킹방어대회, 랜섬웨어 대응 콘퍼런스 등 글로벌 협력 및 인재 생태계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국회 ‘정보보호 체계 고도화’ 입법화 노력 또한 병행된다. 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은 “정보보호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국가 생존 전략”이라며 법·제도 개선에 의지를 표명했다. 현장에서는 산·학·연·시민 4인이 ‘자발적 투자 생태계 조성’, ‘핵심 인재 양성’, ‘차세대 보안 R&D 확장’, ‘생활 속 실천’에 대한 비전을 이어갔다.

 

전문가들은 “AI와 연결 경제 환경에서 사이버보안 역량이 국가·기업 신뢰도와 직결되는 시대가 됐다”며, “정책과 산업, 학계의 원팀 협력 모델이 실질적 변화를 촉진할 수 있다”고 분석한다. 산업계는 이번 보안 대책과 정책이 실제 AI·디지털 시장 안착의 분수령이 될지 주목하고 있다.

정하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ai#정보보호의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