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참본부장 재소환”…내란특검, 평양무인기 지휘체계 ‘합참 패싱’ 의혹 정조준
합동참모본부 지휘 체계를 둘러싼 내란·외환 사건 수사에 다시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19일 이승오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육군 중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재소환하며, 평양 무인기 침투 작전의 실제 지휘와 명령 체계를 정조준했다.
이날 이승오 본부장은 오전 9시 40분부터 특검 사무실에서 조사를 받고 있다. 군 지휘부 핵심 인물인 그는 평양 무인기 침투 작전 당시 직접적 역할을 맡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조은석 특검팀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비상계엄 명분을 강화하고자 북한의 도발을 유도할 목적으로 이 작전을 지시했다는 의혹에 주목하고 있다. 관계자들은 특검이 ‘합참의장→합참 작전본부장→드론사령관’ 등 정상 군 명령 계통에서 벗어나, 당시 경호처장이었던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등 외부 인사가 개입했다는 ‘합참 패싱’ 논란까지 세밀히 들여다보는 것으로 해석했다.
전날에도 특검팀은 김명수 합참의장(해군 대장)과 김용대 전 드론작전사령관(육군 소장)을 각각 참고인,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를 진행한 바 있다. 조사 범위가 확대되며 피의자 및 군 내부 증언 확보에 속도를 내는 분위기다. 다가오는 22일에는 서울동부구치소에 수감 중인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을 대면 조사할 예정이며, 당초 소환 통보에 김 전 장관 측이 건강상 이유로 불응한 만큼 이번엔 구치소 방문 조사를 선택했다.
정치권에서는 무인기 침투 지시와 ‘합참 패싱’ 의혹을 두고 군의 지휘 체계 왜곡, 정치적 개입 의혹이 다시금 쟁점으로 부각되는 모습이다. 여야 모두 수사의 파장과 군 기강 약화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향후 특검의 대면 조사 결과와 군 지휘라인 추가 소환 일정에 따라 군 내부와 정치권 모두 적잖은 후폭풍이 예상된다. 특검팀은 유관 인물 수사 확대를 예고한 만큼, 군 지휘체계의 문제점과 비상계엄 추진 의혹에 대한 진상 규명이 본격화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