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정부 전산망 마비 사태”…행안부, 온나라시스템 장애로 디지털 행정 마비

윤선우 기자
입력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에서 발생한 화재로, 정부 주요 부처에서 사용하는 전산망 ‘온나라시스템’이 마비되면서 공무원 사회 전체가 디지털 업무 정지 사태에 직면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9일 오전 국정자원 화재로 인해 중단된 정부 전산시스템은 총 647개에 달했고, 이날 낮 12시 기준 62개만이 복구된 상태다. 행안부 내부 업무 시스템, 공문서 발송, 부처 간 결재·협업 기능이 마비되자 각 부처는 전례 없는 비상 대응에 나서고 있다.  

 

온나라시스템은 행정기관 간 전자 문서 교환, 내부 결재, 메신저, 자료공유 등 정부 디지털 행정의 핵심 인프라로, 이번 장애로 인해 수기 결재와 팩스 등 아날로그 방식으로 임시 전환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디지털 프로세스가 중단되면서 일부 부처는 부득이하게 결재 서류를 직접 전달하거나 수기로 보완한 후, 시스템 정상화 시 재업로드하는 절차를 도입하고 있다.  

이번 사태는 디지털 행정 인프라가 단일 장애점(SPOF)에 크게 의존하고 있음을 드러냈다. 현재 서버 복구와 네트워크 복원 등이 병행되고 있지만, 복구율이 낮아 정상화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환경부, 복지부, 교육부 등 핵심 부처뿐 아니라 일선 지방 공공기관, 고용노동부 현장 지청 등도 업무 중단 및 대민 서비스 차질을 피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복지와 교육 등 국민 민원 접점 부서는 결재 업무, 민원접수, 내부 협업이 사실상 중단되면서 민원인에게 직접 지연 사실을 안내하는 등 혼선이 계속되고 있다. 여성가족부 등 일부 부처는 대전이 아닌 광주 또는 공주 전산센터에 시스템이 분산돼 피해가 부분적이지만, 부처 간 연계 서비스가 차질을 빚는 등 한계가 있다.  

 

각 부처는 “수기 결재 등 데이터를 임시로 남겨두고, 전산망 복구 후 역추적해 시스템에 기록 이관”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부처 담당자들은 “전산 복구가 언제 될지 불투명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며 정보시스템 이중화·분산화 등 근본적 보완책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글로벌하게도 행정 IT 시스템은 점점 클라우드 기반·멀티센터 분산화로 진화하고 있다. 미국, 유럽 등은 재난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핵심 행정망을 지역·물리적으로 분산 배치하는 전략을 도입 중이며, 사이버 재난에 대비한 데이터 백업·재해복구(DR) 자동화도 속도를 내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는 디지털 행정의 이점과 동시에, 단일 인프라 의존이 치명적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는 교훈”이라고 평가했다. 관련 부처와 산업계에서는 “원인 분석과 구조적 재설계 없이는 유사 사태 재발을 막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산업계는 이번 전산망 중단 이후 정부 디지털 인프라의 점검·혁신이 가능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윤선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행정안전부#온나라시스템#국가정보자원관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