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연구 2.74조 시대”…과기정통부, 역대 최대 예산 편성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내년 기초연구사업에 역대 최대인 2조7400억원 규모 예산을 투입하기로 하면서 국내 기초과학 연구 생태계에 변화가 예고되고 있다. 2024년 폐지됐던 기본연구 사업을 전격적으로 복원하고, 신규 과제와 박사후 연구원 귀국 지원, 인재 양성 트랙 등 정비를 통해 기초연구의 안정성과 확장성을 모두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과제 수 또한 1만5800개로 대폭 확대되고, 신규 과제 비중도 올해 대비 거의 두 배 가까이 늘어난다는 점에서 업계는 ‘기초연구 정책의 전환점’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번 예산 편성의 핵심은 연구자 중심 지원체계의 복원과 다각화다. 과기정통부는 기초연구 생태계 불확실성을 지적해온 현장 의견을 받아들여, 2024년 사라졌던 생애기본연구를 ‘기본연구’ 사업으로 부활시켰다. 내년부터는 약 1150억원 예산으로 2000건가량의 과제를 지원한다. 중견연구 사업도 ‘핵심연구’로 명칭과 구조를 개편해, 연구자의 성장 단계에 맞는 예산과 기간이 차등 배분된다. 창의연구·씨앗연구 등으로 세분됐던 사업 구분도 단순화해, 연구자들이 자신에게 적합한 지원을 선택할 수 있도록 바꾼 것이 특징이다.

기초연구 집중 투자와 연구 인프라 네트워크 강화도 두드러진다. 기초연구실(BRL) 신규 과제를 올해 111개에서 내년 132개로, 국가연구소(NRL2.0)도 신규 4개소를 추가 선정해 중점 육성한다. 대학 연구 인프라 현대화, 그리고 기초과학 기반의 인공지능(AI) 융합형 인재 양성 차원의 ‘AI·디지털 대학 연구혁신’ 등 새로운 과제도 첫 도입된다.
해외 우수 박사후 연구인력의 국내 복귀 역시 주요 과제로 부상했다. 세종과학펠로우십에 ‘복귀 트랙’을 신설, 내년 260억원으로 130명 안팎의 인재 귀국 및 연계를 촉진한다. 이를 통해 지원 전 과정(국내-국외-복귀) 일원화를 실현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연구자들이 국내 연구기반에 안착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사업 구조와 예산 증액은 영·미·일 등 주요국이 첨단기초과학 분야에 대규모 투자경쟁을 이어가는 글로벌 환경과 맞물려 있다. 선진국과의 격차 해소를 위해 연구자 개별 성장을 촉진하고, 장기·도전적 연구를 확대하는 것이 그 배경이다.
업계는 새 예산안에 대해 “지속가능한 연구생태계 전환의 신호탄”이 될 가능성에 기대를 보이면서도, 실제 현장 집행과 연구자의 연구 몰입 환경 조성이 관건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기술이 실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