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25% 상호관세 경고”…산업부, 업계와 긴급 점검회의 소집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8월 1일부터 한국 수입품에 25%의 상호관세를 매기겠다는 서한을 발표하며 양국 경제협력에 파장이 일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8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업계와 민관 합동 긴급 점검 회의를 열고 공동 대응책을 논의하고 있다. 문신학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이 직접 회의를 주재하며 정부, 자동차·철강·이차전지 등 주요 업종 관계자들이 현장에 자리했다.
산업부는 미국의 대외관세 계획이 발표된 직후 “국내 산업 피해와 대응 전략 점검이 시급하다”고 밝히며 대응의 고삐를 바짝 죄고 있다. 이날 회의는 대한상공회의소, 한국경제인협회, 한국무역협회, 한국중견기업연합회, 중소기업중앙회 등 경제단체와, 현대자동차, 포스코, LG에너지솔루션 등의 대형 기업 관계자들이 모두 참석해 긴장감이 높았다. 정부 유관 부처는 물론,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산업연구원 등 국책연구기관도 의견을 나눴다.

문신학 1차관은 “미국의 관세 부과가 현실화될 경우 수출 주력 업종과 협력사를 중심으로 산업 충격이 불가피하다”며 “상호 신속한 정보 공유와 실효적 대응 방안 마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각 업계와 경제단체는 “대한국 관세가 시행될 경우 경쟁력 약화와 대미 투자 위축이 우려된다”며, 정부와의 긴밀한 협조체계 구축을 요청했다.
정치권에서도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한 신속 대응 필요성을 높게 보고 있다. 야권은 정부의 대미 외교력을 주문하며 “관세 철회와 관련한 실질적 협상에 주력해야 한다”고 촉구했고, 여권 역시 “국내 산업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며 강경 대응 입장을 보였다.
이와 함께 업계 전문가들은 “현행 한미 FTA 등 기존 무역체제를 바탕으로 국제적 협상력을 극대화해야 한다”며 “장기적으로 해외투자 전략 다변화가 불가피할 수 있다”는 견해를 전했다. 국내 기업들은 업종별 피해 수준 산출, 대체 시장 확보 등 다각적 대응 시나리오 마련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미국 관세 조치는 8월까지 추가 유예기간이 남아 있지만, 산업계와 정부는 실시간 정보 공유와 비상 대응을 이어가고 있다. 산업부는 “향후 미국과의 외교·통상채널을 적극 가동해 업계 피해 최소화에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이어 열릴 한미협상 등 실무협의를 통해 추가 대응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