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10년 국방 협력 프레임워크 추진”…인도·미국, 군사 협력 강화와 방산 거래 확대
국제

“10년 국방 협력 프레임워크 추진”…인도·미국, 군사 협력 강화와 방산 거래 확대

윤지안 기자
입력

현지시각 3일 미국(USA) 국방부는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과 라지나트 싱 인도(India) 국방장관이 전화 회담을 갖고, 올해 중 직접 만나 향후 10년간 국방협력 프레임워크 서명에 합의할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미·인도 양국은 이번 합의를 바탕으로 전략적 군사 파트너십을 공고히 하고 대규모 방산 거래를 본격화할 조짐이다.

 

두 장관은 대(對)인도 미국 방산제품 판매 확대와 방위산업 협력 진전에 뜻을 모았다. 특히 인도 공군 ‘테자스’ 경전투기에 장착할 ‘GE F404’ 엔진 조기 인도와, 인도 힌두스탄항공(HAL)·미국 GE 에어로스페이스 간 ‘F414’ 엔진 현지 생산 계약이 논의됐다. 헤그세스 장관은 인도를 남아시아 안보의 핵심 파트너로 지목하며, 미 인도의 전략적 관계 심화 의지를 강조했다.

인도·미국, 10년 국방협력 합의…보잉 아파치헬기 6대 2조2천억 원 인도
인도·미국, 10년 국방협력 합의…보잉 아파치헬기 6대 2조2천억 원 인도

실질적 협력의 신호탄으로 인도 육군은 이번 달 미국 보잉이 제작한 아파치 헬기 3대를 우선 인수하고, 나머지 3대도 11월까지 추가로 도입한다. 2015년 9월 약 2조2천억 원 규모로 체결된 이 거래는 인도군 주력 헬기 현대화와 미국 방산업계의 인도 시장 진출 확대라는 상징적 의미를 갖는다.

 

이 같은 협력은 미국·중국 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국제 정세 속에서 동맹 네트워크 재편과 방산 공급망 다변화 움직임으로 평가된다. CNN은 "미국 보잉, GE 등 방위산업 기업들이 인도 시장 내 수혜를 본격화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미국과 인도 모두 쿼드(Quad) 안보협의체를 통한 전략적 대중 견제를 병행한다는 점도 주목된다.

 

방위산업계는 방산 부품·기술 교류와 현지 생산 계약의 확대 가능성에 주목한다. 나아가 반도체, 항공기 엔진 등 첨단부품 시장에서도 긍정적 파급효과가 기대된다. 블룸버그 등 주요 외신은 "양국 국방협력 심화가 글로벌 군수산업의 공급망에도 직접적 변화를 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향후 10년 국방협력 합의의 구체적 실행계획, 추가 무기 도입, 부품 현지화 및 엔진 생산 등 후속 논의의 진전 여부에 따라 인도·미국 방산 및 관련 산업 전반에 구조적 변화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투자자들은 이번 발표가 증시 및 부품 산업에 남길 영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번 조치가 향후 미·인 국방 및 경제 협력, 나아가 아시아·태평양 안보 지형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국제사회가 주목하고 있다.

윤지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인도미국#보잉#방산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