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인천 연안 방사능 안전 확인”…유정복 시장, 신속 조사로 시민 불안 대응
사회

“인천 연안 방사능 안전 확인”…유정복 시장, 신속 조사로 시민 불안 대응

윤찬우 기자
입력

북한의 핵폐수 방류 우려가 제기된 가운데, 유정복 인천시장이 신속한 현장 조사로 지역 해역의 안전성을 확인했다고 8일 밝혔다. 인천시는 최근 시민 우려가 높아지자 주문도 서남방, 교동대교 남단, 서검도 북쪽 등 3개 지점에서 바닷물 시료를 긴급 채취해 직접 방사능 분석을 진행했다.

 

인천보건환경연구원 분석 결과, 세 지점 모두 삼중수소와 세슘 농도가 최소검출가능농도 미만으로 나타났다. 이는 세계보건기구(WHO)와 해양수산부 기준을 크게 밑도는 수치로, 기존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전국 해역 방사능 감시 결과와도 일치한다. 인천시는 중앙정부의 특별 실태조사보다 앞서 자체적으로 조사를 실시한 것이다.

유정복 인천시장 / 연합뉴스
유정복 인천시장 / 연합뉴스

유정복 인천시장은 “중앙정부보다 신속하게 조치해 시민 혼란과 불안을 줄이고자 했다”며 “결과적으로 인천 해역의 방사선 수치는 모두 정상”이라고 설명했다. 유 시장은 동시에 “한 번의 조사만으로 모든 우려가 해소된다고 볼 수는 없다”며, 조사 범위를 강화 인근 해역 등으로 확대하고 지속적 모니터링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인천시는 해양수산부, 원자력안전위원회, 유관 부처가 참여하는 ‘서해 환경 모니터링 특별팀’ 구성을 제안했다. 이동형 감시 장비 추가 배치, 경기 북부(파주·김포) 등과의 공동 조사 필요성도 중앙정부에 공식적으로 요청했다.

 

전문가들은 지자체의 직접 조사와 결과 공개로 시민 불확실성을 일정 부분 완화했다는 평가다. 그러나 원자력·해양당국의 별도 공식 조사 결과가 2주 후 발표될 예정인 만큼, 정부와 지자체 간 긴밀한 정보 공유와 환경관리 체계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주민 불안이 계속되는 배경에는 북한의 반복적인 정보 비대칭과 투명성 부족이 자리잡고 있다. 유정복 시장은 북한에 대해 우라늄 정련시설 관련 남북 공동조사 또는 국제기구 합동조사 협력을 촉구했다. 

 

인천시는 최종적으로 범정부 차원의 신속한 대응과 북측의 책임 있는 정보 공개가 이뤄져야 시민층 신뢰가 회복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인천시는 당분간 자체 모니터링을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경찰, 환경·원자력 당국은 앞으로 더욱 강화된 현장 조사와 정보 공개로 시민 안전 보장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해당 사안의 여진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윤찬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유정복#인천보건환경연구원#북한핵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