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AI로 국가전반 혁신”…과기정통부, 공공부문 AX 추진전략 논의
IT/바이오

“AI로 국가전반 혁신”…과기정통부, 공공부문 AX 추진전략 논의

조현우 기자
입력

인공지능(AI) 기술의 활용이 국가 전체의 디지털 혁신(AX, AI Transformation)을 이끄는 핵심 동력이 되고 있다. 1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류제명 2차관은 서울 중앙우체국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공공부문 AI 대전환을 위한 추진 전략을 업계 및 전문가들과 논의했다. 업계는 이번 자리가 “AI 기술을 통한 국가경쟁력 재편”이라는 분기점이 될 것으로 평가했다.

 

간담회는 류제명 차관 취임 이후 AI 3대 강국(G3) 도약을 목표로 매주 추진되는 현장 릴레이 정책 간담회의 일환이다. 이번 회의에는 AI 분야 교수진과 더존비즈온, 포티투마루, 딥노이드, 한컴인스페이스, 심플랫폼, 미디어젠, 무한정보기술 등 주요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해 AI 기술의 현장 적용 경험과 현안, 정책적 제언을 공유하는 자리를 가졌다.

행사에서는 특히 국가 전반의 AX 확산을 위한 구체적 과제와 공공부문의 역할이 중점 논의됐다. 송호철 더존비즈온 대표는 공공부문에서의 AI 대전환 추진 방향을 발표했다. 참석 기업들은 공공 데이터 활용성 확보, 현장 애로사항 해소, 공공분야 기술 인프라 확충 등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같이 정부 내부 일반 업무부터 각 부처별 특화 서비스까지, AI 도입을 적극 확산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공공 AI 서비스 창출이 중요 과제로 꼽혔다.

 

이번 논의는 AI 전환을 위한 정부의 전략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공유했다. 국내 빅테크·AI 기업들이 공공시장 진출을 확대하면, 차세대 AI 플랫폼 기술 개발과 인프라 구축에 더욱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글로벌 관점에서 미국·유럽 등도 공공 부문의 AI 도입 및 활용도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아울러 공공부문 AI 확산에는 데이터 품질, 인프라 표준화, 윤리·정보보호 등 제도적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AI 기술이 정책 설계, 민원 처리, 사회복지 등 다양한 영역에서 실제로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식별된 각종 규제와 협업 모델, 인프라 투자가 필수라는 평가다.

 

류제명 2차관은 “AI G3로의 도약을 좌우할 승부처는 결국 AI 기술의 실제 활용 역량에 달려 있다”며 “국가 전반의 AX 실현을 위해 공공부문이 마중물 역할을 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그는 “신속한 AI 전환을 위해 민간과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겠다”고 덧붙였다.

 

산업계는 이번 논의가 향후 공공부문 AI 확산과 산업 생태계 전반의 혁신 촉진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기술 확산과 제도 설계가 균형을 이뤄야 국가 디지털 전환이 가속될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조현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과기정통부#류제명#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