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 정보보호 투자가 생존 좌우”…정부, 보안정책 대전환 신호
AI 기술 발전이 전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며 정보보호가 단순한 비용이 아닌 기업과 국가의 생존을 좌우하는 투자로 재인식되고 있다. 정부와 산업, 학계, 시민사회는 AI와 양자기술 등 새 ICT 환경에서의 보안 위협이 날로 고도화되는 만큼, 모두가 원팀으로 정보보호 생태계 조성과 역량 강화에 나서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업계와 정부는 정보보호 생태계 구축이 곧 “AI 경쟁력 확보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강조한다.
9일 서울 용산에서 열린 제14회 정보보호의 날 컨퍼런스에서는 디지털 안전 국가를 목표로 ‘AI 시대,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안심 국가 구현’ 전략이 집중 논의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정보원, 행정안전부 주최로 개최된 이번 행사에서 산업계, 학계, 보안업계, 시민 대표가 릴레이로 각기 정보보호 비전을 제언했다. 기업들은 “정보보호 투자는 지속 가능성을 좌우하는 최우선 경영 과제”라고 천명했고, 학계와 정부는 “AI 시대에 맞는 보안 인재 육성 체계와 정책적 지원”의 중요성을 부각했다.

정보보호의 투자 관점 확산과 산업·정부의 협업 강화는 기존 방어 위주 정보보안 전략의 한계를 벗어나려는 시도로 읽힌다. 특히 AI, 양자암호, 클라우드 등 신기술 기반 보안 위협이 전 산업으로 확산됨에 따라, “먼저 막는 것”이 아니라 사고 이후 빠른 복구와 기업·국가 신뢰 회복이 핵심 경쟁력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사이버 공격이 실제 국가 안보나 국민 안전까지 위협하는 상황에서, 현장에서는 “정보보호 비용” 대신 “정보보호 투자”라는 용어가 이미 정착되고 있다.
보안 산업은 정부의 R&D 지원과 테스트베드, 국제 표준 연계 강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신규 사이버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AI·양자 내성 암호 등 신기술 적용, 데이터 보호 강화, 체계적인 인재 양성 체계 구축 등이 긴급 과제로 꼽힌다. 현장 전문가들은 “국민 신뢰와 AI 산업 역량을 지키는 디지털 인프라가 국가 경쟁력의 관건”이라며, “정보보호 정책·인재·R&D 투자가 동반돼야 한다”고 밝혔다.
글로벌 차원에서도 AI 강국 도약을 위해 정보보호와 사이버 보안 체계의 대전환이 필수로 여겨지는 분위기다. 미국·유럽 등은 이미 AI 학습데이터 보안, 사이버 공격 복원력 강화, 인재 양성에 정책적으로 무게를 두고 있다. 국내 산업계는 “정보보호에 대한 선제적이고 미래지향적 투자 없이는 글로벌 디지털 경제에서 뒤처질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이날 발표에서 정부는 사이버보안 정책 제도 재정비, 보안 인재 양성, 지역·중소기업 지원, 보안 산업 육성, 복원력 확보까지 포괄적 추진 의지를 다시 한 번 천명했다. 전문가들은 “AI·정보보호 연계 정책이 구체적으로 현실에 적용돼야 대한민국이 디지털 신뢰 국가로 자리 잡을 수 있다”며, “산업계는 실제 시장 안착 가능성, 정부는 제도적 뒷받침, 학계는 미래 인재 양성을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산업계는 이번 정보보호 정책 전환이 실제 디지털 경제와 안전을 동시에 뒷받침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