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3학년부터 영어 교육 적합”…최교진 후보자, 조기 영어 교육 필요성 제기
영어 조기 교육과 고교학점제를 둘러싼 논쟁이 재점화된 가운데, 최교진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명확한 입장을 드러냈다. 2일 국회에서 열린 청문회에서 최 후보자는 ‘고교학점제가 학교 현장에 정착하지 못했다’는 지적에 동의하면서도, 제도 폐지 가능성을 일축했다. 여야 간 교육 정책 추진 방식과 학생·학부모 불안이 맞물리며 정국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이날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고교학점제가 제대로 시행되고 있다고 보는가”라고 질의하자, 최 후보자는 “잘 안 되고 있다”고 답했다. 그는 “철저하게 단계적으로 준비했어야 했으나, 시행 후 현장에서는 교사들의 어려움과 비판이 커지고 있다”며 “현장의 비판을 정책 혁신의 자양분으로 삼겠다”고 말했다. 이어 “고교학점제 자체를 취소할 일은 절대 아니다”고 단언했다.

최 후보자는 교원 확보와 입시 제도 보완의 필요성도 언급했다. “현장의 의견을 경청하며 현실적 해결책을 마련하겠다”며 “교원 충원·입시 문제는 행정안전부, 국정교육위원회와 협의해 제도 개선으로 연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학생들이 시험의 도구가 되지 않고, 학부모가 안심할 수 있는 학교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고교학점제에 대한 교육계 내외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최 후보자는 현장 문제 해결과 함께 정책 추진을 이어가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동시에 현 정부의 ‘서울대 10개 만들기’ 공약과 관련, 8천733억원 투입 계획에 대해 “단계적으로 예산을 늘려가야 한다”며 “지금 예산은 지방거점국립대 9개 지역 중 3곳 착수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조기 영어 교육을 둘러싼 정책 방향에서도 입장을 명확히 했다. 최 후보자는 “유아들이 우리말도 습득하기 전에 외국어를 배우는 건 줄여야 한다”며 “초등학교 3학년부터 영어를 배워도 충분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세종시 교육감 시절인 2014년, 국립 단설유치원에서 영유아 영어 수업을 금지한 사례도 언급했다.
여야 의원들은 고교학점제 보완 및 서울대 10개 예산 확대 방안에 각각 우려와 기대감을 나타냈다. 학부모 단체와 교육계는 교원 충원·입시 개선 의지에 주목하는 분위기지만, 현장 혼란 가능성에 대한 신중론도 병행됐다.
정부와 국회는 고교학점제 및 교육 재정 확대를 놓고 다음 회기에서 추가 논의에 돌입할 계획이다. 이번 인사청문회를 계기로 교육 정책의 미래 방향을 둘러싼 격론이 이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