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P 격노설’ 조사 핵심 등장”…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 특검 출석 긴장감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이 7월 7일 오전,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 특검 사무실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해 조사를 받으며 ‘VIP 격노설’ 수사가 중대 국면에 접어들었다.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은 2023년 7~8월 채 상병 순직 사건 당시 대통령실 메시지를 해병대 수사단장 박정훈 대령에게 전달했다는 외압 의혹의 핵심 인물로 지목돼 왔다.
이날 오전 10시 20분경, 김 전 사령관은 직권남용 및 권리행사방해 혐의로 소환됐으며, “VIP(대통령) 격노” 전언이 실제 있었는지, 대통령실과 이종섭 전 국방부장관 등 윗선의 지시가 어떻게 전달됐는지에 대한 특검팀의 강도 높은 조사가 이뤄지고 있다. 특히 2023년 7월 31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이런 일로 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사단장 하겠냐”는 회의 발언 직후 수사 기조가 변화했다는 점이 수사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김계환 전 사령관은 박정훈 대령의 ‘VIP 격노설’ 핵심 전달자로 지목됐지만, 법정과 국회에서 줄곧 해당 사실을 부인해 왔다. 지난해 12월 전역한 이후 민간인 신분으로 전환된 만큼, 기존과는 다른 진술이 나올지 주목된다.
특검팀은 직권남용 의혹 외에도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의 허위보고와 구명로비, 추가 외압 정황에 대한 조사도 병행 중이다. 오전에는 임 전 사단장 관련 참고인 조사, 오후에는 본격적인 피의자 신문이 진행될 예정이라고 특검 측은 밝혔다.
이날 특검 사무실 인근에서는 해병대 예비역연대가 기자회견을 열고 김 전 사령관의 ‘책임 있는 진술’을 촉구했다. 유가족과 현역·예비역 해병대원들도 긴장 어린 시선으로 상황을 지켜보는 모습이었다.
향후 특검팀은 김계환 전 사령관 소환을 시작으로, 2023년 7월 31일 전후 대통령실과 관계된 핵심 인물들에 대한 잇단 조사에 나설 방침이다. 공개된 통화 내용과 지시 전달 경위의 일치 여부 등도 주요 검증 대상으로 떠올랐다.
여전히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은 박정훈 대령의 주장과 거리를 두고 있지만, 특검 조사 과정에서 진술 변화가 나올지에 대해 관심이 쏠린다. 수사 외압과 VIP 격노설의 실체, 윗선 개입 여부가 앞으로도 논란의 중심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