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호 자택 등 압수수색"…내란특검, 국민의힘 '계엄 해제 표결 방해' 본격 수사
계엄 해제 표결을 둘러싼 내란 혐의 수사가 정점으로 치닫고 있다. 9월 2일 내란 특검팀이 국민의힘 추경호 전 원내대표 자택과 국회 의원실을 압수수색하며, 정치권은 한층 격랑에 휩싸였다. 지난해 12월 3일 빚어진 비상계엄 사태와 연계된 '계엄 해제 표결 방해 의혹'이 본격적으로 도마 위에 올랐다는 분석이 나온다.
내란특검팀은 이날 오전 서울 강남구 도곡동의 추경호 전 원내대표 자택과 국회 의원실에 수사관을 투입해 자료 확보에 나섰다. 특검은 당시 의원총회 장소를 반복적으로 변경해 국민의힘 의원들의 표결 참여를 조직적으로 방해했다는 의혹에 수사 초점을 맞추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12월 4일 계엄 해제 표결에서 국민의힘 소속 의원 108명 중 표결에 참석한 의원은 18명에 불과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수사팀은 추경호 전 원내대표가 윤석열 전 대통령, 한덕수 전 국무총리 등 여권 최고위 인사들과 표결 전후로 통화한 정황에도 주목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12월 1일과 3일 윤 전 대통령, 3일 한덕수 전 총리와의 각 통화 내역은 이번 압수수색의 주요 근거로 활용됐다. 특검 관계자는 통화 기록자료, 의원총회 관련 문서 등을 면밀히 분석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반면 추경호 전 원내대표는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국회 봉쇄로 인한 장소 변경일 뿐, 표결 방해와는 무관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계엄 관련 통화 역시 "발표 내용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이뤄졌을 뿐"이라고 진술했다. 국민의힘 관계자들도 "특검이 무리하게 권한을 행사한다"며 수사의 위법성을 강하게 제기하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내란특검 압수수색에 대해 여야 모두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다. 야권은 철저한 진상 규명을 요구하는 한편, 여권 일각에서는 특검의 수사가 정치적 의도가 아니냐는 비판도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내란특검의 수사 방향과 결과가 추후 여야 관계, 국정운영 구도에 미칠 영향이 적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압수수색이 단행된 만큼 추경호 전 원내대표에 대한 소환이 임박할 전망이다. 정국은 내란 특검의 추가 조사와 자료 분석 결과에 따라 한층 치열한 여야 공방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