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간헐적 단식, 심혈관 위험 증가”…미중 연구팀, 8년 추적 결과 발표
IT/바이오

“간헐적 단식, 심혈관 위험 증가”…미중 연구팀, 8년 추적 결과 발표

한유빈 기자
입력

건강과 다이어트 방법으로 각광받아온 간헐적 단식이 오히려 심혈관 질환 위험을 크게 높일 수 있다는 대규모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파인버그 의과대와 중국 상하이교통대 의과대 공동 연구팀은 미국 성인 약 1만 9000명의 식습관 및 건강 데이터를 8년간 심층 분석했다. 연구는 국제 학술지 '당뇨병 및 대사 증후군: 임상 연구와 리뷰' 3월 22일자에 게재됐다.  

연구진은 하루 8시간 이내로 식사를 제한한 간헐적 단식 그룹과 12~14시간에 걸쳐 식사한 그룹을 비교하고, 사회경제적 배경·기저 질환 등 주요 변수를 통제한 결과, 단식 그룹의 심혈관 질환 사망 위험이 135%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특히 흡연자, 당뇨병 환자, 기존 심혈관 질환자는 단식 시 위험도가 더욱 증가했다.  

간헐적 단식은 일정 기간(16시간 공복 등) 음식을 제한해 인슐린 민감도 개선, 체중 감량 등에 효과가 있다고 평가받았으나, 실제 장기간 적용 시 심장 건강 부분에서 경고 신호가 제기된 것이다.  

연구를 이끈 종 교수는 “장애가 없는 집단에서도 일관된 위험 신호가 반복됐다”며, “심혈관 질환 예방이나 장수 목적으로 간헐적 단식을 장기간 적용하는 것은 재검토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다만 “물론 무엇을 먹는지 등 식품 자체가 더 중요한 변수일 수 있다”며, 섣부른 단식 금지보다는 추가 연구와 식습관 전반에 대한 통합 접근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앞서 일부 소규모 연구에서는 간헐적 단식이 대사 건강에 이점이 있다고 보고되었으나, 최근 해외 학계에서는 심장·혈관계 영향 등 중장기 데이터의 검증이 미진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미국, 유럽 등에서는 체중 감량 플랫폼·앱 등을 통한 비대면 영양 관리 서비스가 늘고 있으나 “식사 패턴 개입의 장단기 효과를 확인하려면 장기적 근거가 추가돼야 한다”는 전문가 의견도 개진된다.  

업계는 이번 연구가 건강관리 IT·바이오 서비스, 개인 맞춤 영양 분석 등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에도 새로운 기준 논쟁을 불러올 수 있다고 본다.  

산업계는 단일 식사 패턴보다는, 데이터 기반의 정밀 영양 솔루션과 임상 검증의 결합이 향후 건강관리 산업의 차별화 기준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한유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노스웨스턴대#상하이교통대#간헐적단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