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당 임기 단축 의결”…조국 전 대표 복귀·조기 전당대회 수순 논란
조국혁신당 현 지도부 임기 단축 방안이 확정되며 전당대회 조기 개최를 둘러싼 여야의 정치적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조국 사면 이후 당권 변화가 급물살을 타면서, 지도체제 개편과 조국 전 대표 복귀 논란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조국혁신당은 8월 13일 임시 최고위원회의와 당무위원회를 잇따라 열고, 김선민 대표 권한대행과 최고위원 전원의 임기를 당초 내년 7월까지에서 앞당기는 안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황현선 사무총장은 “지도부 임기 단축을 결정했고, 새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도 조기 개최한다”고 밝혔다. 당초 현 지도부의 임기는 내년 중반까지였으나, 이번 결정으로 8개월가량 앞당겨지는 셈이다.

당 공식 입장문에 따르면, 이번 전당대회는 정기 전당대회로 진행되며 전국 지역위원회 구성과 대의원 선정, 시도당 개편대회 등이 한꺼번에 이뤄진다. 황 사무총장은 “제2의 도약 기회”라며 내란 종식, 정치개혁, 다당제 연합정치, 민주 진보 진영 연대, 당 단결 등 5대 과제를 강조했다. 지도부 임기 축소안은 전 당원 투표 과정을 거쳐 최종 승인될 예정이며, 조기 전당대회가 사실상 확정된 분위기다.
전당대회는 11월 중순 개최가 유력하다. 한 당 관계자는 “9월 준비가 어렵고, 10월엔 국정감사가 있어 현실상 11월 개최가 가능성 크다”고 설명했다.
이번 당 지도부 개편의 실질적 배경에는 조국 전 대표의 당권 복귀가 자리하고 있다. 윤재관 수석대변인은 ‘정기 전당대회 개최 결정이 조 전 대표 복귀를 염두에 둔 조치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당 지도부는 빠르면 이달 내로 전당대회준비위원회를 구성한 후 전당대회 일정을 최고위에서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대해 정치권에서는 혁신당의 조기 전당대회 결정이 조국 전 대표의 강력한 리더십 복원과 당내 결속, 차기 총선 대응전략 마련의 성격을 동시에 갖는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일부 진보 진영 인사들은 “지도부 쇄신과 조 전 대표 복귀가 당의 확장성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그러나 일각에선 “당권파 집중과 파벌 갈등이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한다.
한편 김선민 권한대행은 이날 ‘끝까지간다’ 특별위원회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 구속 관련 발언을 내놔 주목받았다. 김 권한대행은 “사필귀정”이라며 환영의 뜻을 전했고, “김건희 특검 수사가 진행될수록 범죄 의혹이 더 커지고 있다. 특검법 확대 개정과 전담 인력 확대, 상설특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당대회 개최 일정과 조국 전 대표의 복귀 수순을 둘러싼 당내 의견수렴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조국혁신당은 이달 내 전당대회준비위원회 출범과 전 당원 투표 절차를 마무리할 계획이며, 정치권은 차기 전당대회 결과가 정계구도 재편에 미칠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