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우라늄 공장 폐수 논란 재점화”…정부, 서해 방사능 오염 합동 조사 착수
북한 평산 우라늄 정련 공장에서 유출된 폐수로 서해 오염 가능성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정부가 관계 부처 합동으로 강도 높은 방사능 오염 실태조사에 착수하면서, 한미 정상회담 이후 대북 환경 이슈가 또 한 번 정치권 안팎의 주목을 받고 있다.
통일부는 3일 원자력안전위원회, 해양수산부, 환경부와 회의를 열고 4일부터 ‘관계부처 합동 특별실태조사’를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2019년 보다 참여 기관과 지점, 조사대상 오염물질을 모두 확대한 조치다. 정부 관계자는 “북한 예성강 하구와 가장 인접한 강화도, 한강하구 등 10개 시료채취 지점에서 우라늄과 세슘, 중금속 오염도를 집중 점검한다”고 말했다.

이러한 정부 대응 뒤에는 최근 북한 전문매체 데일리NK가 공개한 위성사진 분석 결과가 촉매제로 작용했다. 해당 보도는 평산 우라늄 공장에서 나온 방사성 폐수가 예성강을 따라 서해에 유입되고 있다는 전문가 견해를 전했다. 정부는 실제 오염 가능성을 면밀히 점검하는 동시에, 조사 투명성과 과학적 근거 확보를 강조하고 있다.
이와 관련, 2019년 당시 원자력안전위원회는 6개 지점에서 우라늄만 조사했으나, “검출량은 자연상태 수준으로 유의미한 오염은 확인되지 않았다”고 결론냈다. 그러나 최근 경계감이 높아지면서 이번엔 대상 물질에 세슘과 중금속까지 추가해 조사의 신뢰도를 높이기로 했다.
정치권 내부에서는 안전성 우려와 함께 정부의 투명한 정보공개를 촉구하는 목소리도 이어진다. 일부 야권 의원들은 “주민 생활권과 직결된 사안인 만큼 정부가 실태조사 결과뿐 아니라 감시체계의 전 과정을 국민에게 소상하게 밝혀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정부 측은 “조사 후 약 2주간 분석을 거쳐 조사 결과를 신속히 제공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정치권과 시민사회는 이번 합동조사 결과가 공개될 경우, 오염 여부뿐 아니라 한반도 환경안보 논쟁으로까지 번질 가능성을 주목하고 있다. 특히 오염 우려가 현실화될 경우 한반도 서해안 주민들의 안전, 남북 당국 간 환경 정보 교류, 국제기구와의 협력 등 다양한 정책 과제가 부상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앞으로 매달 오염 실태를 점검하며 정기 감시체계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관계부처 협의체를 가동해 상황 변화에 신속히 대응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