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eVTOL 선두주자 약보합”…조비에비에이션, 상용화 앞둔 시장 ‘변동성 확대’
산업

“eVTOL 선두주자 약보합”…조비에비에이션, 상용화 앞둔 시장 ‘변동성 확대’

이소민 기자
입력

미국 eVTOL(전기 수직이착륙기) 분야의 선두 기업 조비에비에이션(Joby Aviation) 주가가 22일(현지시간) 1.37% 하락한 16.61달러로 장을 마감했다.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상용화 사업 전개에 따라 투자자들의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는 가운데, 미국 전기 항공 산업 전반에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22일 조비에비에이션이 장 초반 하락세로 출발한 이후 한때 16.80달러선을 넘어서며 반등했으나, 오후 들어 매도세가 우세해지면서 전일 종가 16.84달러보다 0.23달러 낮게 마감했다. 이날 시가는 16.71달러, 저가는 15.51달러로 내림세와 반등 흐름이 반복됐다.

출처: 구글 금융
출처: 구글 금융

조비에비에이션은 도심 내 단거리 비행 모빌리티를 목표로 미국과 글로벌 시장에서 상용화를 추진 중이다. 전기 추진 기술 기반 eVTOL 항공기 개발로 주목받아왔으며, 올해 시가총액이 139억 7,700만 달러까지 확대되는 등 투자 열기가 작지 않다.

 

주가 변동성 확대의 배경에는 미국 내 항공 규제 승인 절차와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 경쟁사와의 기술 경쟁 심화 등 산업 구조적 요인이 자리잡고 있다. 조비에비에이션은 연내 상용 운영 인허가 및 대형 운송사와의 협력 확대를 모색하고 있으나, FAA(미국 연방항공청)의 허가 일정이 변수로 꼽힌다.

 

업계에서는 글로벌 eVTOL·UAM 시장 선점을 위한 선행 투자와 시험사업이 가속화되는 만큼, 대·중소 기술기업·운송사 간 전략적 제휴와 대규모 투자를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이와 함께 개발비 부담과 안전성 검증 등 과제도 만만치 않다.

 

정부·규제기관은 인프라 정비와 기체 안전성 등 산업 표준 마련을 위한 로드맵을 마련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조비에비에이션이 먼저 상업운항 허가를 받으면 관련 시장 전체에 신호탄이 될 수 있다”며 “초기 과점 체제와 밸류에이션 변동이 격화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한편, 전문가들은 시장 기대가 여전히 크지만 상용화 과정에서 각종 인증, 도심 안전성 확보 등 규제이슈가 장기간 주가 변동성의 주요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정책과 시장의 속도 차를 어떻게 좁힐지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이소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조비에비에이션#evtol#u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