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일 과거사 소망·압박만으로 해법 안 돼”…조현 외교부 장관, 협상·관계 재정립 의지 밝혀
정치

“한일 과거사 소망·압박만으로 해법 안 돼”…조현 외교부 장관, 협상·관계 재정립 의지 밝혀

김소연 기자
입력

정치적 현안을 둘러싼 갈등과 각국 외교 전략이 교차하는 가운데, 조현 신임 외교부 장관이 한일 과거사 문제와 미·일 협상 방침에 대해 신중하면서도 현실적인 입장을 밝혔다. 이재명 정부의 첫 외교수장이 된 조 장관은 21일 오전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 출근길에서 취재진을 만나 “미국 방문 시기는 미측과 종합적으로 가장 적절한 시기를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신임 장관으로서의 책임감을 강조한 그는 “외교부로 다시 돌아온 기쁨이나 감격이랄까 이런 것보다는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고 소회를 밝혔다.  

특히 대미, 대일 협상 전략에 대해 조현 장관은 “협상을 흔히 제로섬으로 생각하지만 경험상 항상 논제로섬이 나온다”며 “이런 부분은 외교부가 할 수 있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상호이익에 기초한 외교적 ‘윈윈’ 해법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이어 한일 과거사 문제와 관련해 “일본 사회에 관해 이해해야 한다. 왜 일본 사회가 오늘날에 이르렀는지 잘 이해한다면, 우리가 소망하거나 압박만으로 과거사 문제를 풀 수 없다는 점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일방적인 주장이나 감정적 접근보다 현실과 상호이해를 통한 문제 해결이 바람직하다는 인식이 묻어난다.  

 

조현 신임 장관은 다자·통상외교 분야에서 쌓아온 경력을 토대로 외교부의 변화와 현안 대응에 나설 전망이다. 그는 외교부 1·2차관을 역임한 직업 외교관으로, 지난 17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인사청문회를 무난히 통과했다. 야당 또한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채택에 동참하며, 조 장관의 전문성과 정파적 무난함에 공감하는 분위기가 읽힌다.  

 

정치권은 이번 조현 장관의 공식 활동과 미국 방문, 한일관계 정상화 방안에 대해 다양한 전망을 내놓고 있다. 전문가들은 “한일 과거사의 건설적 접근은 향후 동북아 정세는 물론, 국내 정치에도 상당한 파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조현 장관 취임에 따라 외교부는 미국과의 현안 조율, 일본과의 관계 복원 등 굵직한 외교과제에 집중할 전망이다. 정부는 미국 방문 일정을 확정하는 대로 주요 외교계획과 한일관계 로드맵 마련을 본격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김소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조현#외교부#한일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