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열대야가 수면 흔든다”…장기적 불면증, 삶의 질 저하 경고
IT/바이오

“열대야가 수면 흔든다”…장기적 불면증, 삶의 질 저하 경고

조보라 기자
입력

열대야가 반복되는 여름, 잠들기가 어렵고 자다가 자주 깨는 불면 증상이 급증하고 있다. 열대야는 전날 저녁 6시부터 다음날 오전 9시까지 최저기온이 섭씨 25도 이상 유지되는 현상을 말한다. 의학계는 더위로 인한 체온저하 곤란이 불면증을 유발하고, 생체리듬 교란이 장기화될 경우 생활 전반에 광범위한 영향을 준다고 경고한다. 업계는 “열대야 환경이 수면장애를 고착화시키는 분기점이 될 수 있다”며 체계적 수면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최근 의료현장에서는 열대야가 신체의 자연스러운 열 방산을 방해해 체온이 떨어지지 않고, 결과적으로 수면의 질을 저하시키는 현상이 관측되고 있다. 특히 신체가 어둠과 낮아진 온도를 인지할 때 분비되는 멜라토닌(수면 유도 호르몬)이 고온 환경에서 제대로 생성되지 않아, 입면장애·중도각성·수면유지 불량이 복합적으로 발생한다. 김선영 이대서울병원 교수는 “여름철의 고온다습과 긴 일조 시간은 멜라토닌 분비와 생체리듬 모두에 영향을 미쳐 수면의 질이 악화된다”고 설명했다.

의학적으로 불면증은 '잠들기 어렵거나, 수면 도중 잦은 각성, 아침 기상 시 피로감' 등이 3개월 이상 지속되는 상태로 정의한다. 수면 부족은 단기적으로 졸림·집중력 저하·피로감 등 일상 기능 저하를 초래하고, 장기적으로는 인지기능 저하·우울증·심혈관질환·암 위험 증대 등 중대한 건강 문제와 직결될 수 있다. 해외 연구 메타분석에 따르면 불면증 병력이 있는 경우 암 발생 위험이 24% 높으며, 폐암 발병 확률도 상대적으로 11%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문제는 특정 집단에서의 위험도가 더욱 높다는 점이다. 신현영 서울성모병원 교수는 “노년층은 체온 조절력 저하 등으로 열대야 영향을 더 크게 받고, 만성질환 동반 시 증상 악화 가능성이 높다”며 “6~12세 소아에선 성장호르몬 분비 장애 및 학습력 저하, 면역력 약화가 우려된다”고 밝혔다. 또한 우울증·불안장애 환자, 천식·COPD와 같은 호흡기질환 환자, 심혈관 환자에서 열대야와 수면장애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질환 악화 위험이 가중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수면위생 관리 역시 산업적, 정책적 영역에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열대야 불면증은 사전 예방과 생활습관 교정이 핵심으로 꼽힌다. 전문가들은 “매일 일정한 기상시간, 카페인·니코틴·알코올 섭취 제한, 저녁 시간 가벼운 신체활동, 어둡고 조용한 침실 유지, 적정 온습도 관리(25~28도·습도 50~60%) 등”을 실천방안으로 제시했다. 약물치료가 필요한 환자에서도 우선 비약물적 개입을 우선 검토하는 것이 권장된다.

 

특히 최근 디지털헬스케어나 웨어러블 기반 수면 모니터링 솔루션, 실내 자동 온습도 조절기기 등 IT·바이오 융합기술이 수면장애 대응에 적극 활용되고 있다. 구매 실적과 사용데이터의 확대가 불면증 관리 서비스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보여준다. 미국·유럽 등에선 스마트 수면관리 기기 시장이 연 10% 이상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산업계는 열대야 및 불면증이 단순 개인 건강 문제에 그치지 않고 생산성과 사회적 비용 문제로 확산될 수 있다고 보고, 정부의 정책 지원, 보험 적용 확대, 연구개발 투자를 촉구하고 있다. “열대야로 인한 불면증은 하루의 컨디션과 삶의 질을 좌우할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전문가 의견처럼, 기술·의학·정책적 대응의 총합이 여름철 건강관리의 새로운 기준이 되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여름 열대야에 대응한 수면관리 솔루션들이 실제 생활에 안착할 수 있을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조보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열대야#불면증#멜라토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