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스타트업, 성장 생태계 재편”…정부, 지원체계 고도화 전략 시사
AI 스타트업을 둘러싼 지원정책이 전면 재편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1일 서울 광화문에서 AI 스타트업 대표, 벤처투자사 등과 간담회를 열고 현장의 목소리를 듣는 한편, 투자 활성화·정책 지원책에 대해 집중 논의한 것이다. 업계는 이번 자리를 ‘AI 생태계 경쟁력 전환의 신호탄’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는 초기 투자 유치 단계부터 상장 단계까지 다양한 AI 기업이 참석했다. 디블리, 제틱AI, 메타팩토리코퍼레이션, 트립비토즈, 글로랑, 플리토 등은 각 성장 단계별 시장 진입장벽, 자금 조달, 규제 이슈 등의 애로사항을 공유하고, 맞춤형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퀀텀벤처스코리아, DSC인베스트먼트 등 벤처투자업계와 스타트업 육성기관 역시 정책 금융·민간 직접투자 확대 필요성을 제안했다.

AI 산업의 성장 원리와 과제는 세계적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AI 원천기술 개발,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 알고리즘 경쟁력 등은 미국, 중국, 유럽 모두 중점 투자 대상으로 삼고 있지만, 창업 초기 기업이 실질적 성장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현장 맞춤형 지원책과 안정적 자금 흐름이 필수적이라는 평가다. 특히 이번 정책 논의는 기존 일괄적 보조금 중심 구조에서 민관 협력을 바탕으로 한 직접·간접 투자와 액셀러레이팅, 현장 피드백 반영 체계를 확대한다는 점이 주목된다.
투자·지원 구도를 보면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 이동통신 3사와 연계한 KIF 등 대형 기관투자가 정보통신 스타트업 투자에 본격 가세했으며, 한국인공지능·소프트웨어산업협회 등 업계 대표기관들도 다양한 육성 프로그램을 공동 추진하고 있다. 미국과 유럽에서 정책펀드가 AI 기업 성장의 마중물 역할을 하고 있는 점과 유사한 움직임이다.
정부 정책 측면에서는 스타트업의 투자 진입장벽 해소, 데이터·인프라 지원, 성장 단계별 맞춤형 규제완화 등이 쟁점이 되고 있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민관 모두 AI 투자 확대 필요성에 공감한다”며 “정부도 투자 마중물 제공은 물론, 현장 반영 AI 스타트업 지원체계 고도화에 힘쓸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이런 논의가 신속한 기술 상용화와 산업 생태계 확산의 분기점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자금이 높은 위험도와 성장성, 시장 현장 피드백을 모두 반영해 집행될 때 실질적 경쟁력이 높아질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산업계는 정부와 민간이 협력하는 AI 스타트업 지원정책이 실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