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시간마다 北 표적 감시”…국방부, 정찰위성 5기 체계 구축하며 킬체인 역량 강화
정찰위성 5기를 모두 궤도에 올리며 킬체인 역량을 대폭 확대한 국방부가 대북 감시체계를 한층 촘촘히 구축했다. 첨단 정찰위성 군집 운용을 통한 신속한 정보 수집이 북한 도발에 대한 즉각 대응의 기초가 되면서, 한반도 안보 지형 역시 변곡점을 맞았다.
2일, 국방부와 방위사업청은 군 정찰위성 5호기 발사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지난 2년간 총 5기의 정찰위성을 발사하며 약 1조 3천억원이 투입된 ‘425사업’을 마무리했다. 이번 위성 체계 완비로 북한의 특정 표적을 2시간마다 입체적으로 감시·정찰할 수 있게 된다고 군은 설명했다.

군 정찰위성 425사업은 핵·미사일 도발 징후를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종심지역 전략 표적을 감시하기 위해 기획된 사업이다. 1호기에는 전자광학·적외선(EO·IR) 장비가, 2호기부터 5호기에는 각종 합성개구레이더(SAR)가 탑재됐다. 군에 따르면 SAR은 기상이나 주야간에 관계없이 관측이 가능해, 흐린 날씨가 잦은 한반도 특성을 반영했다.
국방부와 방위사업청은 공동 입장문에서 “군 정찰위성 5호기 발사 성공으로 우리 군은 독자적인 감시정찰 능력을 추가 확보했다”며 “한국형 3축 체계의 기반이 되는 핵심 전력 증강으로 킬체인 역량을 한층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위성 군집 운용의 가장 큰 의미는 정보 획득 기회의 증가와 관측 각도의 다양화다. 군 관계자는 위성 여러 대를 동일 임무에 투입할 수 있어 신속·유연한 대응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재방문 주기가 단축돼 특정 표적을 2시간 단위로 입체 감시하게 되면서, 북한의 핵·미사일 움직임 포착 능력도 크게 높아졌다는 평가다.
정치권과 군사 전문가들은 한국형 3축 체계의 핵심 전력 확보가 동북아 안보 지형에 미칠 영향에 주목하고 있다. 여야는 대북 감시력의 독자적 확보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한편, 향후 위성 운용의 효율성 제고와 지속적 국산화 필요성도 언급되고 있다. 우주 기반 안보가 현실 정책으로 접어들었다는 점에서 시민사회 역시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한편 국방부는 정찰위성 외에도 초소형 위성체계 개발에 본격 착수했다. 내년 하반기부터 2030년까지 40여 기의 초소형 SAR 위성을 순차적으로 발사할 계획이다. 초소형 위성사업은 한반도와 주변 해역의 위기상황을 신속 감시하고, 국가 우주자산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국내 우주력 강화 전략과 연계된다.
이날 국방부와 방위사업청은 “안보 영역이 우주로 확장되는 현시점에서 정찰위성 체계 구축은 우주강국 도약의 기초”라고 강조했다. 향후 정부는 초소형 위성사업 성과와 한반도 감시 체계 지속적 보완을 병행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