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노무현 이름 효과 논란”…광주시교육감 후보 여론조사 공정성 도마 위
정치

“노무현 이름 효과 논란”…광주시교육감 후보 여론조사 공정성 도마 위

강다은 기자
입력

교육감 선거 후보 이력이 여론조사 지지율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공정성 논란이 또다시 정치권과 교육계에 쟁점으로 부상했다.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광주시교육감 출마 예상자들을 대상으로 연이어 실시된 여론조사 결과, 김용태 전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광주지부장의 '노무현 학교장' 이력 사용 여부에 따라 지지율이 극심하게 엇갈리며 신뢰도 논쟁이 불붙었다.  

 

올해 5건의 공식 여론조사 가운데 이정선 현 광주시교육감이 4차례 1위를 차지했고, 김용태 전 지부장은 ‘노무현재단 광주시민학교장’이란 이력 표기에 따라 1위와 4위를 오가며 논란의 중심에 섰다. 실제로 6월 20~21일 코리아리서치인터내셔널이 지방언론사 3곳 의뢰로 실시한 조사에선 이정선 교육감(21%)에 이어 김용태 전 지부장이 ‘노무현’ 이름 명시로 16%의 지지도를 얻으며 2위를 기록했다.  

불과 일주일 후 진행된 리얼미터 조사에서는 김용태 전 지부장이 21.5%로 이정선 교육감(21.1%)을 근소하게 앞서 1위에 올랐다. 그러나 '노무현' 이름 미표기 상황에서는 양상이 완전히 달랐다. 8월 2~3일 조원씨앤아이가 스트레이트뉴스 의뢰로 실시한 조사와 8월 22~23일 에스티아이 조사에서 김용태 전 지부장은 6.7%로 각각 4위를 기록했고, 이정선 교육감(21.5%, 22.8%)이 연속 1위를 지켰다. 한 달도 안 돼 최대 15%포인트가 요동친 결과다.  

 

최근 실시된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 조사에서는 김용태 전 지부장이 다시 '노무현' 이력을 명시하며 18.9%로 2위에 복귀, 이정선 교육감(19.3%)과의 격차를 좁혔다. 정성홍 전 전교조 광주지부장과 오경미 전 교육국장 역시 등락을 반복했다.  

 

여론조사 마다 후보 이력 표기 기준이 달라 지지율이 급등락하자, 교육계와 정치권에서는 유명인 이력 활용의 공정성과 여론조사 신뢰도 논란이 비등하다. 일각에서는 “정치인이 아닌 교육수장을 뽑는 선거에서 전직 대통령 이름을 앞세운 지지율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반면, “실제 경력이면 명기 자체가 여론의 한 단면”이라는 주장도 만만치 않다.  

 

더불어민주당은 유사 논란을 우려해 국회의원 경선 등에서 전직 대통령 이름 사용을 당규로 금지하고 있으나, 현장에선 이견이 여전하다. 메타보이스 오승용 이사는 “여론조사 결과가 이름 하나로 출렁이는 것 자체가 교육감 선거에 대한 유권자 무관심의 방증”이라며, “다만 이력 자체를 배제하는 것도 또 다른 불공정 시비를 부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광주시교육감 선거가 불과 1년도 남지 않은 가운데, 후보 이력 표기 기준과 여론조사 신뢰성 공방은 내년 선거일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자세한 조사 내용과 방식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강다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용태#이정선#광주시교육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