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90세 림순응, 노동신문 기고로 등장”…이산가족 고령화 현실화
정치

“90세 림순응, 노동신문 기고로 등장”…이산가족 고령화 현실화

윤가은 기자
입력

북한 출신 이산가족의 고령화 현상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23일 평양외국어대학 연구사 림순응 박사(90)의 기고문을 통해 이산가족 상봉 문제의 세월을 보여주면서다.  

 

림순응 박사는 지난 2000년 11월 30일 제2차 북측 이산가족 방문단 100명 가운데 한 명으로 서울을 방문해 남측 가족을 만났다. 당시 그는 65세로, 어릴 적 사고로 청력과 언어능력을 상실한 남동생과 여동생을 상봉했다. 이후 림 박사는 평양방송 등 대남 선전 매체에 등장했으며, 노동신문 등 관영매체에 이름이 오르내린 것은 2012년 이후 13년 만이다.  

이번 노동신문 기고에서 림순응 박사는 6·25전쟁 참전 경력과 더불어 북한 체제와 최고지도자를 찬양하는 논조를 보였다. 다만 이산가족 상봉 경력 등 남측 방문 당시의 개인사는 기사 내에 언급되지 않았다.  

 

이와 별개로, 이산가족 신청자의 고령화 현상은 점차 심화되고 있다. 통일부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6월 30일 기준 정부에 등록된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 13만4천427명 중 9만8천796명, 즉 73.5%가 이미 별세한 것으로 조사됐다. 생존 신청자의 연령대를 보면 70대가 17.7%, 80대가 33.8%, 90세 이상이 33.1%로 70세 이상이 무려 84.6%에 이르는 상황이다.  

 

남북 이산가족 교류는 2018년 상봉이 마지막 사례로 남았다. 올해 상반기 통일부에도 민간 차원의 상봉 신청이 접수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정치권과 시민사회에선 고령의 이산가족을 위한 실질적인 남북 당국간 상봉 재개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정치권은 이산가족 문제 해결 없이 한반도 신뢰 구축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당국 간 이산가족 상봉 논의가 사실상 중단된 가운데, 정부와 국회는 후속 대책과 국제협력 방안 등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윤가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림순응#노동신문#이산가족